[출처: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자료 제공]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건설 산업 부문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고,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이를 가치 창출의 촉매제로 활용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8일 오후 2시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건설산업의 지속가능성과 혁신을 위한 ESG 정착 방향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건설산업 재탄생 위한 ESG 경영의 가치 탐색'을 주제로 ESG 경영이 건설기업과 건설산업 차원에서 향후 어떤 성과와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했다.
이 연구위원은 "과거의 이미지 제고 차원의 ESG 대응에서 벗어나 규제, 시장, 비용 등을 감안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성과 창출 경로를 제시했다.
이 연구위원은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고,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며 "국내 건설 산업의 근본적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가치 체계의 촉매제로 활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다음 발제자로 나선 김영덕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ESG 경영 내재화를 위한 영역별 전략과제와 대응 방향'을 주제로 건설산업 ESG 경영의 핵심 성과 요인과 실천 과제를 제시했다.
김 선임 연구위원은 "초기 규범이나 평가 기준 등 도구적 측면이 강조되었던 ESG는 최근에는 지속가능성 가치에 초점을 맞춘 이해관계자 경영과 사회적 책임, 조직의 혁신과 성장 관점으로 실무적인 측면으로 통합된 개념으로 발전됐다"고 소개했다.
김 선임 연구위원은 "건설산업도 최근 ESG의 이슈와 법·제도적 환경변화에 맞춰 환경, 사회 그리고 거버넌스 영역별로 실질적인 대응 전략 및 실천 과제를 발굴,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환경영역, 사회영역, 거버넌스 영역 분야의 각 핵심 성과 요인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ESG 정착을 위해선 건설산업에 대한 기대와 수요에 맞춰 ESG 가치의 산업 내 공감대 형성과 건설산업 참여자 간의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미래 사회의 요구와 건설산업 혁신과 연계한 건설산업 ESG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출처: 연합인포맥스 촬영]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