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올해 3분기 서울 A급 오피스빌딩 공실률이 소폭 상승했다.
22일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기업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의 3분기 오피스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의 평균 공실률은 전 분기 대비 0.2%P 오른 3.1%로 집계됐다.
임대료는 전 분기 대비 0.9% 올랐으며 강남업무지구(GBD)의 임대료 상승률이 1.6%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임대료 상승에 강남업무지구(GBD)의 공실률은 3.0%로 전 분기 대비 0.6%포인트 올랐다. 높은 임대료 부담으로 인해 기업들이 면적을 줄이거나 혹은 권역 이탈로 지난 3년간 0~2%대 사이를 유지하던 GBD의 공실률이 처음으로 3%대로 오른 것이다.
강남 N타워는 티오더와 크레이버 코퍼레이션이 각각 이전 계약을 체결했으며, 비나우와 아이디어허브가 GT타워에 계약을 완료하면서 잔여 공실을 모두 해소했다. 또한 롯데월드타워에 입주했던 롯데온이 임차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권역 내에서 이전을 결정했다.
보고서는 "치솟는 임대료로 인해 재계약을 앞둔 일부 기업들이 임대료 부담으로 외곽으로 이전하거나 평수를 줄일 것"이라며 "국내 대기업 중 일부도 임차 계약 재검토에 나서면서 향후 공실률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종로구 등 도심업무지구(CBD) 공실률은 3.1%로 주요 업무 지구 중 유일하게 하락했다. 코리안리가 본사 재건축에 따른 임시 거처로 시그니쳐타워를 선택 계약을 완료했으며, 법무법인 세종과 신한라이프가 각각 디타워 광화문 그레이츠 숭례에 증평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분기에 준공된 메리츠강북타워에는 코멘토가 이전을 결정했으며, 그랜드센트럴은 일부 임차사의 증평으로 건물 내 잔여 공실을 해소했다.
여의도업무지구(YBD)의 공실률은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오른 3.4%를 기록했다. 쓰리 IFC에 디에스투자증권이, TP타워에는 우리종합금융이 증평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FKI타워에서는 카버코리아가, SK증권빌딩에는 네오젠코리아가 입주를 결정했다. 리모델링 중인 원센티널(신한금융투자타워)의 일부 층이 이번 분기에 계약됐다.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