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피혜림 기자 =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본확충을 위한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뚜렷한 이유 없이 연기되면서 시장에 불안이 엄습하고 있다. HUG가 연내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지 못해 자본확충에 실패할 경우 자본금 축소에 따른 보증한도 문제로 내년 주택사업 관련 보증이 전면 중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달이 이뤄질 자본시장과의 소통마저 미미한 터라 연내 발행 가능성 등을 두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HUG의 감독부처인 국토교통부는 금융당국과 원만하게 소통하고 있다면서 연내 발행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HUG 신종자본증권 안갯속…완주 의지는 여전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HUG가 이달 중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려면 오는 19일까지 증권신고서가 처리돼야 한다. 증권신고서 접수에 이어 수요예측, 발행까지 열흘여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만 연말을 앞두고 기관 투자자들의 북클로징이 예정된 터라 뒤늦게 나설수록 금리 면에서는 불이익을 볼 수 있다. 12월 초까지도 발행은 가능하지만 HUG의 2025년 자본 산정에 반영되려면 올해를 넘겨서는 곤란하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지난 6일 기자들과 만나 HUG 신종자본증권 발행 문제와 관련해 금융당국과 "설명을 충분히 많이 하고 있고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조만간 다시 잘 추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HUG는 NH투자증권을 통해 이달 중 최대 7천억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기로 하고 수요예측 등을 진행하려 했으나 금융당국의 반려로 연기됐다.
문제는 반려 사유가 명확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HUG의 보증여력 확대가 가계부채 증가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미 지난해부터 (전세보증금) 보증범위를 주택가격의 100%에서 90%로 하향했다. 보증여력과 가계부채 확대는 별개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이에 대해 금융당국도 잘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도 금융당국이 문제를 제기한 부분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뚜렷한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HUG 신종자본증권의 발행 시기가 돌연 연기되면서 시장의 우려는 지속되고 있다. 연내 조달 가능성이 불확실해지면서 일각에선 철회설이 일기도 했다.
이에 HUG는 전일 발행과 관련해 "관계부처 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협의가 완료되면 신속하게 후속 절차를 진행하여 자본확충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연내 발행 가능성 등에 대한 명확한 시그널이 없어 혼선이 가중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연내 발행 여부 등이 계속 모호한 상황이라 결국 투자자들이 미리 자금을 집행해 북클로징한 이후 발행에 나설 경우 진짜 미매각이 발생할 수도 있다"며 "현재의 불확실한 행보가 오히려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내 발행 외 대안 없어, 선택지 없는 HUG
HUG의 연내 발행은 사실상 선택이 아닌 필수인 실정이다. 만약 신종자본증권 조달이 이뤄지지 못할 경우 사업 차질이 불가피하다.
현재 HUG의 자본금은 6조8천억원, 보증배수는 53배 정도로 파악됐다. 그런데 올해 전세보증 사고 등으로 지난해에 이어 4조원대의 적자를 볼 경우 자본금은 4조원대로 줄어들 수 있다. 국회에 제출한 중장기 재무관리 계획에서 HUG는 내년 자본금을 4조원 초반으로 제시했다.
[출처: 2024~2028년 공공기관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HUG는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라 자본금의 90배 이내에서 각종 보증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자본확충 없이 2조원의 자본금이 줄어들면 보증배수는 현재 상태에서도 법정상한인 90배로 바뀐다. 내년에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외에도 아파트 분양보증, 정비사업장 보증 등 모든 주택시장 관련 보증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는 의미다.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내년 초로 미룰 수도 없다. 국토부와 HUG의 설명에 따르면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내년 초 이뤄질 경우 회계상 자본확충 효과 반영시기가 2026년도로 늦춰진다. 이 경우 HUG는 보증배수 확대를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내년 3월 결산 전까지 정부 출자를 통해 대응할 순 있지만 관계부처 간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 HUG와 국토부가 올해 9월까지 예산을 통한 증자를 추진하다 재정당국의 반대로 시장조달로 돌아선 만큼 이것도 가능성이 희박하다. 시장성 조달이 필수가 된 이유다.
국토부의 다른 관계자는 "HUG 증자 문제는 신종자본증권 발행 하나로만 해결될 문제는 아니고 다른 여러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며 "연내 발행이 되지 못할 경우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