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시장, 매매·전세가격 1~2% 상승 제시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내년 건설경기는 투자부진 등의 여파로 어려움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26일 전문건설회관에서 개최한 '2025년 건설주택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2025년 국내 건설경기는 상반기까지는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나, 하반기에는 소폭 회복세를 보여 연간 건설투자는 1.2%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건설경기 전망을 담당한 박선구 연구위원은 당초 올해 건설투자는 부진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공공물량 증가로 인해 감소 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물량 감소, 경쟁 심화, 이익률 저하 등으로 체감경기는 위축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건축착공이 2022년~2023년 큰 폭으로 줄어 2025년까지 건설경기 부진은 불가피하나, 최근 건축 착공 등 선행지표가 일부 회복세를 보인다는 점에서 2025년 하반기 또는 2026년 상반기에는 회복국면 진입을 예상했다.
내년 건설투자는 연간 1.2% 감소하며, 금액기준으로 300조원을 하회할 것으로 제시했다.
주택시장에 대해서는 수도권에서는 매매·전세가격의 1~2% 상승, 지방은 보합을 전망했다.
고하희 부연구위원은 최근 주택가격이 고점 대비 회복되는 추세 속에서 지역과 유형에 따른 양극화 현상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주택시장에 대해서는 전년 대비 상승 추세는 맞으나,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이 전국 주택가격을 견인하는 상황으로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발생했다고 평가했다.
2025년 주택시장도 수도권과 지방 간, 아파트와 비아파트 간의 양극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