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서울 아파트를 10년 이상 보유한 장기 보유자들의 매도 비중이 11월 들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등기정보광장의 서울 집합건물 매도인 현황을 분석한 결과, 10년 초과 주택을 보유한 후 매도에 나선 비중이 11월 30.5%로 2021년 9월 30.7% 이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서울 집합건물 매도자는 11월 총 8천567명(12월 11일 기준)으로 이 중 10년 초과 보유 매도자는 2천613명이었다.
서울 아파트 장기보유자의 매도 비중은 올해 들어 월간 27~28% 수준을 유지했다.
직방은 장기보유자 매도 비중 증가에 대해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 등 가계대출 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풀이했다.
[출처: 직방]
보유 기간별로는 10년 초과 15년 이하 보유 매도자가 1천5명(38%)으로 가장 많았다. 2010~2014년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국내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를 겪었던 와중에 주택을 매수한 이들이다.
현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3천883만원/3.3㎡, 2024년 12월)은 10년 전인 2014년 12월(1천457만원/3.3㎡)보다 2배 이상 높다.
그다음으로는 20년 초과 보유한 매도자가 827명(32%), 15년 초과 20년 이하 보유한 매도자가 781명(30%)이었다.
자치구별 분포는 송파구(8.1%, 212명), 강남구(7.8%, 203명), 서초구(6.9%, 180명), 노원구(6.8%, 178명), 마포구(6.0%, 158명) 등이었다.
직방은 올해 갈아타기 등으로 거래량이 많은 지역에서 장기 보유자 매도 비중이 높았다면서 특히 강남 3구가 나란히 상위권을 차지했다고 말했다.
[출처: 직방]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