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건설은 과거부터 기반 시설 구축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향상하는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해왔다.
고용 창출과 투자 활성화를 통해 내수 경제를 뒷받침해왔을 뿐만 아니라 부동산 가치 상승을 통한 자산 증식에도 주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지난 몇 년간 고금리 환경과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 부문은 오히려 경제 성장에 주요 걸림돌로 작용해왔다.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성장 둔화와 정책 부재 우려 등은 향후 건설업황에 대한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할 것으로 보인다.
◇ 건설 수주는 회복·투자는 부진할 듯
1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내년 건설수주액은 210조4천억원으로 올해의 205조8천억원대비 2.2%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예상치가 작년의 206조7천403억원 대비 0.44% 줄어든 것에 비해 내년에는 소폭 시장이 개선될 것이라는 얘기다. 다만 건설수주액은 건설업황의 주요 선행지표로 수주가 늘어나는 것이 당장 건설업황의 회복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특히 올해 1~10월 누적 건설수주액이 155조2천821억원임을 고려할 때 11~12월 수주액이 51조원에 달해야 적어도 올해 예상치를 충족하게 된다. 이는 내년 눈높이도 소폭 낮춰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관건은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방침에 따른 정비사업 속도 개선, 3기 신도시 수주 등이 얼마나 빨리 진척될지다.
게다가 연말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 등으로 이어지는 정치적 불확실성이 내년 초까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수주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내년 건설투자는 올해보다 부진할 전망이다.
건산연은 내년 건설투자는 올해보다 2.1% 줄어든 295조3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22년과 2023년 건축 착공 감소로 올해 하반기와 내년에 걸쳐 건설 투자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달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건설투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 줄어들었다. 건설투자는 1분기에 1.6% 증가했다가 2분기에 0.5% 줄어든 이후 3분기에 추가로 큰 폭 감소한 것이다.
특히 주거용 건축투자가 1분기 1.0% 줄어든 이후 2분기 4.8% 감소, 3분기 8.8% 줄어들며 침체가 심화하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2022~2023년 착공이 감소한 가운데, 주택 가격이 급등하던 시기인 2020년 전후에 분양된 아파트 공사가 2024년 초에 대부분 준공되면서 공사 물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 부도업체 29곳…미분양 부담·건설 고용도 악화
건설업 체감경기는 지속해 악화하고 있다.
지난 11월 기준 건설경기실사지수(CBSI)는 66.9로 전월 대비 4.0p 하락했다. CBSI는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100 이상이면 낙관적인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며, 100 이하이면 비관적인 전망을 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비관적인 전망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건설경기가 나쁘다는 의미다.
올해 들어 부도가 난 건설사도 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키스콘)에 따르면 올해 부도가 난 건설사는 현재 총 29개로 2019년(49개) 이후 최대를 기록 중이다. 종합 건설사가 12개, 전문건설사가 17개 부도 처리됐다.
부도업체 29개 중 15개는 비수도권 소재 건설사로 그만큼 지방의 건설업황이 상대적으로 부진함을 시사한다.
게다가 내년 지방의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은 지방 건설사들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당장 지방의 악성 미분양이 늘어나는 점은 건설사들의 재무 부담을 키울 수 있다.
10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6만6천776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만8천307호에 달한다. 이 중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미분양은 각각 5만2천828호, 1만4천464호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모두 전체의 79%를 차지한다. 내년에도 주택시장은 지방은 부진할 것으로 예상돼 미분양 주택이 빠르게 해소되긴 힘들어 보인다.
건설 경기는 당장 고용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1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취업자는 9만6천 명 줄어들며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추세는 내년 건설업 경기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면 되돌리긴 힘들어 보인다.
◇ 부동산 PF 정상화 관건…정책 불확실성 증가는 부담
부동산 PF 정상화의 속도가 향후 건설업황의 바닥을 다지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후 불거진 부동산 PF 우려는 지난 몇 년간 건설시장의 부진을 끌고 온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정부가 나서 부동산 PF 정상화 방침을 내놓았으나 부동산 PF 시장이 연착륙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저금리 환경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출 및 부동산 정책 등 대외 변수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점도 건설업황의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정치권이 탄핵정국에 들어서면서 올해 주택 공급을 위해 추진됐던 수많은 법안이 전면 중지된 상황이다.
탄핵 정국이 오래 지속될수록 부동산 시장의 부진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이는 건설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건산연의 박철한 연구위원은 "최근 정치적 불안정성이 건설투자의 부진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라며 "정부는 정치적 안정성을 높여 경제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2025년 상반기에 필요한 재원 투입을 늘리는 가운데, 필요할 경우 건설 부문을 통한 부양 효과를 높일 추경예산을 편성하는 등 경제 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