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주택 미분양 해소를 위해 정부가 팔을 걷어붙인 가운데, 현대건설이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CR리츠)를 통해 지방 미분양 해소에 기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주목된다.
대형 건설사인 현대건설이 참여할 경우 지지부진하던 CR 리츠를 통한 미분양 해소 노력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은 올해 준공 예정인 대구 미분양 주택 세대의 일부를 CR리츠로 해소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3월 미분양 주택 해소 대책으로 CR리츠를 다시 꺼내 든 바 있다. 이는 2014년 이후 처음이다.
정부는 CR 리츠를 재도입하며, 지방 미분양 주택을 매입하는 CR리츠에 대해 취득세 중과 배제(준공 후 미분양주택 한정)와 취득 후 5년간 종합부동산세 합산을 배제하는 세제 혜택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3월 28일부터 올해 12월 31일 사이 취득한 지방 미분양 주택에 국한된다.
또한 리츠의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 미분양 주택에도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모기지 보증을 발급해주기로 했다. 이 경우 대출금리가 낮아져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진다.
그러나 지난해 정부가 관련 혜택을 공표한 이후 현재까지 CR리츠를 등록해 미분양 아파트를 매수한 사례는 없다.
지난해 9월 KB부동산신탁이 CR리츠를 설립하고 국토부에 영업 등록을 신청한 바 있으나 아직 등록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다. KB부동산신탁의 CR리츠의 총 사업비는 550억원으로 알려졌으며, 해당 리츠는 2022년 11월 준공 이후 계속해서 미분양으로 남아있던 전남 광양의 아파트 497가구를 매입할 계획이다.
지난해 10월에는 제이비자산운용이 CR리츠를 활용, 전남 광양의 아파트 500호 내외를 매입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당국의 등록 허가를 받지 못한 상태다.
리츠의 등록 심사를 담당하는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1호와 2호 CR리츠가 아직 등록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이해 관계자 간의 사업구조 구체화를 위해 협의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토부가 발표한 CR리츠 사전 수요조사에서는 미분양 주택 약 5천가구가 접수된 바 있으나 등록에도 시일이 걸리고 있는 것은 구체적인 조건을 조율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과거에는 CR리츠가 미분양 아파트를 매입할 경우 미분양 아파트를 분양가의 60% 부근에서 매입하겠다는 약속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양가의 70% 수준에서 민간투자자들이 먼저 사들였다. 분양가와 매입가의 차액은 건설사가 후순위 출자하는 것으로 처리해 형식상으로는 투자자들이 분양가에 매입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운용된 CR리츠는 미분양 2천200가구, 2014년 운용된 리츠는 500가구를 각각 매입했다. 그러나 이는 당시 전국 미분양 주택수인 약 10만가구, 4만가구의 각각 2.2%, 1.25%에 불과했다.
현재 전국 미분양 주택수는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총 6만5천146호에 달한다.
리츠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매입 확약이 있어 이를 보고 들어오는 사례가 많았으나, 지금은 미래 시장이 반등할 것만 보고 들어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관건은 시장 회복 가능성이다"라며 "부동산 시장이 회복된다는 확신만 있다면 리츠 구성이 더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