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천·경기 대폭 하락…서울·광주만 상승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1월 들어 아파트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주택 매각 지연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이 63.5%로 전월 대비 6.2%포인트(p) 하락했다고 13일 밝혔다.
수도권 전월 79.9%에서 74.1%로 5.8%p, 5대 광역시 67.8%에서 57.2%로 10.6%p, 기타지역 67.2%에서 64.2%로 3%p 하락했다.
수도권은 서울이 81.4%에서 82.5%로 1.1%p 올랐을 뿐, 인천·경기는 79.1%에서 69.9%로 무려 9.2%p나 하락했다.
주산연은 인천 입주물량 상당부분이 연수구에 몰려있으며, 연수구 적정신규수요의 2~3배가 넘는 과잉공급과 함께 GTX-B노선 착공지연 등 매매심리가 위축돼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은 광주·전라권 8.7%p(57.3→66.0%) 상승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주산연은 전국적으로 아파트 입주물량이 감소(2024년 36만가구 →2025년 26만가구)한 가운데, 광주는 1월 아파트 입주물량이 138가구로 전년 동월(811가구) 대비 급감한 것이 입주율 상승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강원권은 40.0%로 2017년 6월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낮은 입주율을 보였다. 강원지역 아파트 전세가율이 76.6%로 지방 평균보다 3.3%p 높아 전세 대신 기존주택위주의 매매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입주율이 하락한 것으로 풀이됐다.
미입주 원인은 기존주택매각 지연(42.1%), 잔금대출 미확보(26.3%), 세입자 미확보(21.1%), 분양권 매도 지연(5.3%) 순으로 조사됐다.
잔금대출미확보는 7.6%p, 분양권 매도지연은 4.2%p 감소한 반면, 기존 주택 매각지연은 10.0%p, 세입자 미확보는 4.1%p 증가했다.
주산연은 경기침체 우려와 불안한 정치상황 등으로 인해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높아졌기 때문에 기존 주택 매각지연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출처: 주택산업연구원]
[출처: 주택산업연구원]
2월 입주는 1월보다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2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75.6으로 7.2p(2025년 1월 68.4→2월 75.6)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2.2p(72.0→69.8) 하락한 반면, 광역시는 9.2p (66.1→75.3), 도지역은 9.4p(68.6→78.0)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아파트 입주전망 상승은 정부가 지난달 지방에 대한 대출 규제를 완화한 데다 지난 2개월간 하락폭이 큰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주산연은 설명했다.
spnam@yna.co.kr
남승표
spnam@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