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더이상 저비용국가 아냐"
"우크라이나, 정부 투자 계획 80%는 건설 유관 분야"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해외건설에 있어 현지 네트워크 구축이 핵심이라는 조언이 나왔다.
이경준 법무법인 율촌 파트너 변호사는 7일 국토교통부, 해외건설협회 등이 주최한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열린 '해외건설 유망 국가 심층정보 고도화사업 설명회'에서 이같이 제언했다.
폴란드 부문 발제자로 나선 이 변호사는 "폴란드는 우크라이나 진출의 교두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한국의 중동부 유럽 최대 투자 진출국으로 신재생에너지, 인프라건설, 방산 분야 등의 협력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이 큰 시장"이라고 소개했다.
이 변호사는 다만 폴란드는 "더 이상 저비용국가(low cost country)는 아니며, 공사 수주에 앞서 공사 기간, 비용을 산정할 때부터 현지 기업과의 협업이 필수이며, 현지화 네트워크 구축이 성공의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 변호사는 폴란드에 진출하려면 우리 기업은 "EU 기금을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선별적으로 발굴, 초기 단계부터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한 공공기관 참여를 통해 정부의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원자재 공급망 문제와 가격 변동에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현지 법률과 규제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현지 법률 전문가와의 협력 등을 통해 규제를 준수하는 위험을 방지할 것을 조언했다.
[출처: 연합인포맥스 촬영]
호주 시장과 관련해 발제에 나선 강현규 법무법인 율촌 파트너 변호사는 "호주에서 주로 진행되는 민관합작투자사업(PPP) 형태의 사업에서는 전통적인 조달방식 대비 수익률이 높을 가능성이 있다"라면서도 "호주 PPP는 현지 파트너사와의 협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기간의 입찰 준비와 높은 입찰 비용, 우리 기업이 익숙하지 않은 대화형 입찰 프로세스 등으로 호주 시장에도 진입장벽이 존재하나, 기술력과 위험관리 능력이 뒷받침된다면 높은 수익률을 노려볼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시장에 대한 발제에 나선 이승수 법무법인 세종 파트너 변호사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 사업에 있어 사업 프로세스와 투자자 지원제도, 분쟁 사례 등을 설명했다.
이 변호사는 "우크라이나 경제부가 제시한 향후 정부 주요 투자 분야에서 건설 유관 분야 비중이 80%에 이른다"라며 "투자자 지원제도는 물론, 외국인 투자자 보호제와 관련 분쟁 해결 방안에 대해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출처: 연합인포맥스 촬영]
이날 설명회는 국토교통부, 해외건설협회,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등이 주최했으며 해외건설 관련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 협회 등 관련 종사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정부는 2021년부터 우리 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유망국가 심층 정보 고도화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이를 통해 현지의 건설법령이나 조세 제도, 인허가 절차 등 진출 대상국의 건설환경에 대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왔다.
지난해에는 예산을 3억에서 20억으로 대폭 늘려 국가별 심층정보 분석대상국을 기존 1개국에서 6개국으로 확대했고, 이날 설명회는 이에 대한 결과물이다. 이날은 폴란드, 우크라이나, 호주는 물론 캐나다, 인도, 아랍에미리트(UAE) 등 대한 국가별 심층 분석을 제시했다.
해외건설협회의 한만희 회장은 환영사에서 "지난해 우리나라 해외 건설산업은 371억 달러를 수주하며, 누적 수주액 1조 달러를 돌파하는 쾌거를 이뤘다"라며 이러한 성과는 "국제적 정치 리스크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에 따른 경기침체로 세계 경제가 더욱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이뤄낸 결과"라고 자평했다.
한 회장은 "올 한해 해외 건설 시장 환경은 글로벌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녹록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면서도 "이러한 상황에서도 이번 설명회가 시장 정보를 보다 정교하고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양질의 정보를 찾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남영우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장은 축사에서 "국토부는 해외 건설 시장 변화에 발맞춰 더욱 다양하고 고도화된 정보의 제공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원활히 해외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연합인포맥스 촬영]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