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건산연 "건설산업 재탄생 시점…'4Re' 산업 지향"

25.03.18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건설 업계는 지금 단순한 구조조정이 아니라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속가능성을 위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18일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2025 건설산업 혁신을 위한 재탄생 세미나'를 열고, '건설산업 재탄생(Rebirth)'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서 건산연은 재탄생 목표로 '4Re(Responsible, Revolutionary, Reliable, Resilient)'를 제시했다.

즉 책임을 다하고(Responsible), 혁신을 추구하며(Revolutionary), 신뢰할 수 있고(Reliable), 도약하는(Resilient) 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전략 과제로는 '산업 중점가치 대전환, 산업체계 대전환, 시장·상품 대전환' 등의 3대 핵심 과제가 제시됐다.

첫 번째 전략은 산업 중점가치의 변화다. 연구원은 기술과 자본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중심'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김영덕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을 이해관계자 간 협력과 윤리적 가치 정착,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재정립해야 한다"며 일곱 가지 핵심 가치를 제안했다.

특히, '산업가치 대전환 헌장'을 통해 건설산업 종사자들이 공유해야 할 가치와 실천 방안을 구체화했으며, 이를 정책 및 사업 운영에 반영할 것을 제안했다.

두 번째 전략은 산업체계 개혁이다.

기존의 법·제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관련 개별법을 통합하는 '이원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다수의 법령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영준 미래산업정책연구실장은 "산업의 재탄생을 위해서는 모두가 변해야 한다"며 "불공정 거래 해소, 규제 개혁, 스마트 건설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 번째 전략은 건설시장과 상품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지속 가능한 도시·주택·인프라 공급을 위해 '공공 지원, 민간 주도'의 시장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나경연 경제금융도시연구실장은 "건설산업이 국민 삶의 질을 높이려면 도심 내 주택 공급 확대, 노후 인프라 투자 강화, 스마트 건설 금융 활성화 등이 필수적"이라며 "공공이 제도적 지원을 하되, 민간이 주도적으로 혁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건산연은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한 시범 프로젝트도 제안했다. 이 프로젝트는 주택·도시 개발과 건설금융을 연계해 '디지털 전환, 사회적 편익 반영, 책임 있는 민간 투자 유도 등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건산연은 이번 전략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발주자, 건설기업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의 정책 컨트롤 타워 강화 및 '건설산업 재탄생 추진 협의체' 설립을 제안했다.

이충재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원장은 "이번 세미나가 건설산업 구조 혁신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향후 지속적인 후속 연구와 협력을 통해 건설산업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산업 재탄생을 위한 혁신 전략' 세미나

[출처: 건설산업연구원 제공]

ysyoon@yna.co.kr

윤영숙

윤영숙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