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국토교통부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리츠(부동산투자회사) 활성화를 위해 코스피200 지수편입 방안을 모색한다. 미국, 일본, 싱가포르 등에 비해 떨어지는 자본시장 내 비중 확대를 위해서다.
이 외에도 절차 간소화, 연금 저축 등 투자상품 편입, 신용평가 기준 합리화 등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국민의 상장리츠 투자 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에 대한 연구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지난 18일 사전규격공고를 올렸다.
국토부에서 모색하고 있는 활성화 방안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코스피200 지수 편입이다.
지수에 편입될 경우 지수를 추종하는 기관투자자들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장 리츠의 투자를 촉진할 수 있다.
여기에 한국형 리츠 지수 개발,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투자 유인 방안 등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국리츠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운용되는 리츠는 총 408개, 운용자산은 106조원이다.
이중 국내 증시에 상장된 리츠는 24개로 상장 리츠의 시가총액은 8조3천652억원, 운용자산(AUM)은 25조880억원이다.
상장 리츠의 시가총액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0.3%로 미국(6%), 일본(3%), 싱가포르(20%)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국토부가 상장리츠 활성화에 나선 배경이기도 했다.
지수 편입 외에 제도 개선 등 다른 방안도 마련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연금저축, 개인형퇴직연금(IRP)을 통한 유상증자 참여를 자율화하거나, 거래소 공시·증권신고서 공시 과정 중에 불합리 사항을 개선하는 방안 등을 모색한다.
또한 상장 리츠의 신용평가 시 담보인정비율인 LTV 산정기준을 개선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다. 리츠가 실제보다 과도하게 부채 위험이 높게 평가되지 않도록 신용평가 기준을 합리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또한 회사채 발행 시 신용등급 상향 방안이나 자산재평가를 통한 추가 담보대출, 유상증자 등 자금조달에 드는 비용을 절감해주는 방안 등도 모색한다.
신용도를 높여 회사채 발행에 드는 조달 금리를 낮추거나 자산재평가를 통해 담보대출이 추가로 가능하게 하는 방법 등을 모색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