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 47%↓…강남·과천 신고가로 '온도차'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강남구와 과천시 등은 신고가 거래를 이어가는 등 온도 차를 보였다.
1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총 1만 3천423건으로 전월(2만 5천456건) 대비 약 47% 줄었다.
거래가 위축된 흐름 속에서도 서울 강남구와 경기 과천시의 신고가 거래는 각각 59.0%, 62.5%를 차지했다.
강남구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으로 절반을 넘어섰고, 과천시 역시 과천푸르지오써밋, 래미안슈르, 과천자이 등 주요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활발했다.
수도권 전체적으로는 신고가 거래 비중은 3월 9.10%에서 4월 5.97%로 하락하며 관망세가 확대됐다.
서울의 신고가 거래 비중도 18.75%에서 15.44%로, 경기와 인천도 각각 2.97%에서 2.55%, 3.75%에서 3.08%로 하락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7월 예정된 스트레스 DSR 3단계 도입, 조기 대선 등 정책 변수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됐다.
[출처: 직방]
서울 주요 지역별로 보면, 강남구(59.0%)를 비롯해 용산구(46.2%), 양천구(44.0%)는 높은 신고가 거래 비중을 기록했다.
특히 양천구는 목동신시가지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되며 신고가 비중이 전월 대비 18%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서초구(33.3%), 송파구(27.9%), 마포구(26.0%), 강동구(22.8%), 성동구(22.2%) 등도 20% 이상이 신고가를 썼다. 반면 도봉구(0.9%), 강북구(1.5%), 노원구(1.9%) 등 외곽 지역은 1% 내외로 저조했다.
경기권에서는 과천시가 가장 높은 신고가 비중을 보였으며, 성남시 분당구(15.7%)도 판교 및 1기 신도시 중심으로 상승 거래가 포착됐다. 부천시 오정구(15.4%)와 소사구(10.1%)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실수요 유입이 이어졌다.
인천에서는 전반적인 거래 위축 속에서도 미추홀구가 7.5%로 가장 높은 신고가 비중을 나타냈다. 역세권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수요가 유입된 영향이다. 반면 연수구(0.7%), 계양구(1.1%) 등 다수 지역은 여전히 낮은 비중을 보이며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거래량은 줄었지만, 입지 경쟁력이 높은 고가 주거지를 중심으로는 대기 수요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며, 가격 회복 흐름을 견인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일부 고가 단지의 상승 거래는 시장 기대치에 영향을 주는 기준점(앵커) 역할을 하며, 주변 단지의 가격 형성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향후에도 금리, 대선, 규제 등 대외 변수에 따라 관망 흐름이 지속되겠지만, 개별 단지의 입지와 상품성에 따라 수요가 엇갈리는 '선택적 거래' 양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출처: 직방]
[출처: 직방]
ys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