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지난 한 해 동안 국내 상업용 부동산에 투자한 외국인 자본이 28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 코리아는 9일 배포한 '인앤아웃 코리아 2024' 보고서에서 외국인 자본의 국내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가 28억달러로 전년보다 23%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9년 기록한 25억달러 이후 최대 규모로 팬데믹 이전 수준을 완전히 회복했다.
국가별로는 미국(44%)과 싱가포르(28%)가 전체 투자액의 84%를 차지하며 각각 1위와 2위 투자국 지위를 유지했다.
미국계 자본은 전년보다 52% 증가하며 2017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고, 싱가포르 자금 역시 오피스 및 물류 중심의 활발한 투자로 35% 이상 증가했다.
특히 중국은 케이스퀘어시티 오피스 빌딩에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하면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상위 3위권에 진입했다.
자산 유형별로는 오피스가 12억5천만 달러(4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물류가 9억2천만달러(33%), 호텔이 5억1천만달러(18%)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자산은 전년 대비 109% 증가했으며, 핵심 권역 내 코어 자산뿐 아니라 상암 등 비전통 지역의 가치 제고용(value-add) 거래도 활발했다.
호텔 부문에서는 일본계 자금이 콘래드 호텔에 투자됐으며, 미국계 투자자 안젤로고든은 티마크 그랜드호텔을 매입해 보코 서울 명동으로 재개장했다.
반면, 국내 자본의 해외 부동산 투자 규모는 3억8천억 달러로 전년 대비 48% 급감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 환율 변동성, 기존 투자 자산 부실화 등으로 보수적인 접근이 확산한 데 따른 결과로 해석됐다.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일부 투자가 이뤄졌으나, 유럽 시장에 대한 신규 투자는 전무했다.
일본은 국내 증권사를 중심으로 도쿄 내 주거 및 오피스 자산의 매입 활동이 이뤄졌으며, 미국은 전체 해외 투자 비중의 38%를 차지하며 일본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CBRE 코리아 최수혜 리서치 상무는 "국내 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신뢰가 높아지는 반면, 국내 투자자의 해외 활동은 신중해지고 있다"며, "글로벌 불확실성 속 전략적 투자 판단이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CBRE 코리아]
ysyoon@yna.co.kr
윤영숙
ysyoon@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