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유형은 다세대 가장 많아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정부로부터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받은 사람들 다수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40세 미만 청년 세대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거주지는 다세대 주택이었고 오피스텔, 다가구주택, 아파트 등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한달간 전세사기 피해지원 위원회 전체회의를 세 차례 개최해 1천629건을 심의하고, 총 748건을 '전세사기 피해자등'으로 최종 가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까지 포함해 최종 결정한 전세사기 피해자는 총 3만2천185건(누계), 긴급 경·공매 유예 협조요청 결정은 총 1천27건(누계)으로 늘었다.
피해자등으로 지정된 이들의 연령은 75.41%가 40세 미만 청년인 것으로 집계되며 2030 세대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국적별로는 내국인이 3만1천712건(98.5%)에 달했다. 외국인은 473건(1.5%)으로 집계됐다.
주택 유형별로는 주로 다세대주택(9천640건·29.9%)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오피스텔(6천692건·20.8%), 다가구 주택(5천747건·17.9%), 아파트(14.1%)가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주로 수도권(60.3%)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외 대전(11.6%)과 부산(11.0%)도 다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 심의를 거쳐 피해자 등으로 인정받아 주거, 금융, 법적 절차 등 지원을 받은 것은 총 3만6천141건(누계)이었다.
지난달 30일 기준 피해자로부터 총 1만5천267건의 피해주택 매입 사전협의 요청이 들어왔다.
이 중 7천870건은 현장조사 등 매입 심의가 완료돼 피해자에게 매입 가능하다고 통보됐다.
현재까지 협의·경매 등을 통해 매입한 피해주택은 총 1천440호다.
월별 매입실적이 1월 기준 44호에서 3월 108호, 5월 262호, 6월 306호, 7월 373호로 증가하고 있다.
전세사기 피해자의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매입한 건축법 위반건축물은 154호였다.
diju@yna.co.kr
주동일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