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산업재해, 기업가치 흔든다…ESG 투자 '새 변수'로 부상

25.08.11
읽는시간 0

포스코이앤씨 사고 이후 안전리스크 부각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포스코이앤씨의 연이은 사망사고가 건설업계를 넘어 국내 자본시장의 중대 재해 리스크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있다.

대통령의 직접 개입과 건설업 면허취소 가능성까지 언급되면서 산업재해가 개별 기업의 운영 리스크를 넘어 산업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11일 KB증권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589명,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4.2명으로 OECD 평균(1.5명)의 약 3배에 달했다.

특히 2024년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5인 이상 전 사업장으로 확대되고 최고경영자(CEO) 구속 사례까지 발생하면서, 산업안전은 더 이상 부차적 의제가 아닌 기업 경영의 최우선 과제가 됐다.

중대재해는 기업에 자본비용 상승으로 직결된다.

일례로 GS건설[006360]은 2023년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이후 시가총액이 급락했고,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낮추면서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이 동시에 상승했다.

HDC현대산업개발[294870]은 2021년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이후 신용등급 하락과 주가 급락을 겪으며 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이 크게 올랐다.

김준섭 KB증권 ESG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사례들은 중대재해가 일회성 비용을 넘어 기업의 장기적 자금조달능력과 밸류에이션에 구조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최근 한달간 ESG 관련 이슈 발생 국내 기업

[출처: KB증권]

기관투자자들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다.

KB증권에 따르면 국민연금을 포함한 주요 연기금과 자산운용사들은 ESG 평가체계에서 산업안전을 핵심 리스크 지표로 격상했고, 중대재해 발생 기업에 대한 투자 축소와 의결권 행사 강화에 나섰다.

건설업계는 특히 중대재해 발생 시 공공입찰 참가자격이 3년간 제한되고, 민간 발주처 입찰 배제, PQ(사전심사) 감점 등 직접적인 사업 제약을 받는다. 정부는 최근 사망자 1명만 발생해도 공공입찰 제한을 적용하고, 금융기관 대출 심사에 안전등급 반영을 의무화하는 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대기업들은 산업안전 지배구조를 재편하고 있다.

삼성·SK·현대차그룹 등은 최고안전책임자(CSO) 직위를 C레벨 경영진으로 신설하고 CEO 직속 보고체계를 마련했다. 10대 건설사 중 9곳이 안전담당 임원에게 독립 예산권과 작업중지권을 부여했으며, 중대재해 발생 시 경영진 전체의 성과급과 연동하는 연대책임제도 도입했다.

이러한 변화에 힘입어 산업안전 기술 시장도 고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 안전장비·설루션 시장은 2024년 3천884억원에서 2030년 1조2천064억원으로 연평균 21.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물인터넷(IoT) 센서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인공지능(AI) 위험예측 플랫폼, 스마트 보호장비 등이 정부 매칭펀드와 공공조달 의무화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됐다.

김준섭 KB증권 ESG 애널리스트는 "단기적으로 비용 부담이 있더라도, 안전투자가 ESG 등급 개선→자금조달비용 절감→수주 경쟁력 강화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라며 "향후 안전관리 우수기업과 부실기업 간 밸류에이션 격차는 더욱 확대될 것이며, 이는 ESG 투자의 새로운 알파(초과수익) 창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산업재해 현황

[출처: 고용노동부, KB증권 재인용]

ysyoon@yna.co.kr

윤영숙

윤영숙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