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직방]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6.27 가계부채 관리 방안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감소했다는 민간업체의 분석 자료가 나왔다. 특히 서울·경기에서 매수세가 위축되며 하락 거래 비중이 증가했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이 44.4%로 6월(46.5%) 대비 2.1%포인트(p) 하락했다고 11일 밝혔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증가해 상승 거래는 줄고 하락 거래는 늘어나는 '하락 전환' 흐름이 나타났다.
이런 흐름은 특히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2025년 7월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포인트 줄었다.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포인트 증가했다.
세부 지역별로 보면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하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어 수도권 전반에서 뚜렷한 약세 흐름이 감지됐다.
반면 인천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상승 거래 비중은 큰 변동 없이 유지됐고, 하락 거래 비중도 40.6%에서 42.2%로 소폭 증가했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변화 없이 유지됐다.
7월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6월(상승 44.1%, 하락 43.1%) 대비 각각 0.2%포인트 하락하고 0.4% 포인트 상승하며 변동이 미미했다.
다만 세종시는 지방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포인트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포인트 증가했다.
직방은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 흐름의 차이는 6.27 규제의 영향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직방 측은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이나 매매가 하향 흐름이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면서도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diju@yna.co.kr
주동일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