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SOC 분야 모두 늘어…K패스 예산도 올해 두 배
[출처: 국토교통부]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국토교통부 내년 예산안이 올해보다 4조원 많은 62조원으로 책정됐다.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공적주택 공급 예산으로 22조원을 배정했다. 주택공급에 올해보다 6조원을 늘렸다.
국토부는 국토교통 안전, 주거 및 교통 민생안정, 균형발전 등을 지원하기 위해 2026년 예산안을 역대 최대인 62조4천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보다 7.3% 많은 액수다.
예산은 사회간접자본(SOC) 20조8천억원, 사회복지 41조6천억원으로 구성했다. 각각 올해보다 6.5%, 7.8% 증가했다.
내년 예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서민 주거안정 분야댜. 공적주택 19만4천호를 공급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기존 16조5천억원에서 22조8천억원으로 늘렸다.
GTX 등 철도건설, 도로건설, 가덕도 신공항을 비롯한 8개 신공항 건설 등 주요 간선 교통망 확충엔 8조5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론 GTX 예산이 기존 4천67억원에서 4천361억원으로, 가덕도신공항 예산이 1조원에서 1조7천억원으로, 새만금신공항 예산이 632억원에서 1천200억원으로 증가했다.
신규사업으로 제천-영월 고속도로건설에 410억원을, 장흥유치-영암금정 국도건설에 20억원을 들이기로 했다. 또 지방 미분양 주택 5천호 매입을 위해 예산 5천억원을 배치하고 지방 건설경기를 지원한다.
안전 강화를 위해 항공, 철도, 도로 등 교통망 전반의 안전조치 예산도 확대했다.
특히 철도 안전 예산은 2조4천억원에서 2조9천억원으로 늘었다. 도로 시설물 정비 예산은 2조6천억원을 유지했다.
공항시설 안전강화 예산은 작년 224억원에서 올해 1천204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반탐사장비를 기존 13대에서 32대로 늘리고, 지자체 지반탐사를 지원하는 등 싱크홀 선제 예방 강화 예산을 기존 15억원에서 144억원으로 늘렸다.
민생 차원에서 K패스 혜택 확대 등 도입 예산은 2천374억원에서 5천274억원으로 늘었다.
균형발전을 위한 지자체 자율편성 예산은 기존 8천억원에서 1조3천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또 AI 시범도시에 40억원, 기후변화산단조성에 10억원을 들여 미래 지역거점 육성에 나서기로 했다.
AI 신기술 응용 시스템 상용화를 위한 지원사업을 신규 실시하는 데에 880억원을, 83개 국토교통 연구개발(R&D) 투자에 5천억원을 배정했다.
diju@yna.co.kr
주동일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