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울 공공임대주택 내년부터 재건축…중계 1·가양 7·수서주공 1단지 등

25.09.19
읽는시간 0

국토교통부

[출처: 국토교통부]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국토교통부가 내년부터 노원구 중계 등에서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 본사업에 착수한다. 내후년엔 강서구 가양, 강남구 수서 등에서 재건축 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19일 국토부는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본사업을 통해 2026년 노원구 중계 1단지, 2027년 강서구 가양 7단지, 강남구 수서 주공 1단지 등 사업 승인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매년 약 3개 단지에 재건축을 착수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재건축 기간은 사업 계획 승인, 입주민 이주, 신규주택 건설, 입주까지 약 4~5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 계획은 지난 7일 발표한 9.7 공급 대책의 일환이다.

국토부는 9.7 공급 대책을 통해 역세권 등 도심 내 주요 입지에 위치한 30년 이상의 노후 공공임대주택을 최대 용적률 500%까지 상향해 고밀도로 재건축하고 주택 2만3천호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국토부는 시범사업으로 지난해 말 노원구 하계5단지와 상계마들 단지의 사업 승인을 완료한 상태다.

해당 단지들은 입주민 이주를 추진하고 있다. 내년 초 착공 후 2029년 준공을 거쳐 재입주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재건축으로 신규 분양주택을 공급할 경우 단제 전체를 일괄 착공하는 사업 방식을 통해 착공 후 1년 이내에 분양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승인 계획인 중계 1단지는 2028년부터 분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계1단지에선 분양가 상한금액을 적용해 총 488호를 분양한다.

상계마들, 하계5단지는 분양 물량이 배정되지 않았다.

국토부는 재건축 단지에 살던 입주민이 공사기간 동안 인근 공공임대 공실, 매입임대주택 등에 입주해 임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재건축 이후엔 기존 임대주택 입주자가 신규 주택에 재입주할 수 있도록 우선 보장한다.

재입주 임대료는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다만 임대주택 대부분이 주거 취약계층인 점을 감안해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연내 지자체, 사업자 등 관계기관을 포함한 '공공임대 재건축 이주대책 협의체'를 구성해 단지별로 세부 이주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국토부는 "신규 공급하는 임대주택은 통합공공임대로 공급하여 중산층의 입주 기반도 마련하는 한편, 기존 영구임대주택 입주자를 포함하여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도 함께 도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공공임대와 공공분양이 함께 공급되는 단지는 같은 동 내 임대·분양을 혼합하는 '소셜 믹스'를 통해 여러 계층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공공주택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diju@yna.co.kr

주동일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