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국토교통부]
(서울=연합인포맥스) 주동일 기자 = 국토교통부가 9.7대책에서 발표한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 2만3000호 착공을 본격 추진한다. 내년 2개 단지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하계5·상계마들 2개 단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재건축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노후 공공임대 재건축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도심지에 분양주택을 대량 공급하기로 한 정부 방침에 따른 것이다.
하계5·상계마들 단지는 내년 초 총 1천699호 규모로 착공한다. 빠르면 2029년 입주가 가능하다.
이어 단지별 이주대책을 마련하고 2028년 중계1단지, 2029년 가양7, 2030년 수서·번동2 등 총 2만3천호를 순차적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원주민 이주대책으로는 인근 공공임대주택 공가를 활용하거나 신규 매입임대 물량 일부를 임시 이주주택으로 제공하는 안을 내놨다.
새 주택은 소득분위 기준이 1~6분위인 통합공공임대 주택으로 공급한다.
기존 영구임대 주택은 소득분위가 1~2분위여서 공공임대 주택에 대한 낙인효과를 불러일으킨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2024년 말 기준 수도권에 있는 30년 이상 경과된 노후 공공임대 주택 수는 8만6천호에 달했다. 10년 후에는 16만9천호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diju@yna.co.kr
주동일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