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요빈 기자 =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 시행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당초 중소형 운용사의 새로운 판로를 열어줄 것이라는 기대와 다르게 대형사를 중심으로 한 공고한 판매망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27일 첫 시행을 앞둔 공모펀드 직상장 펀드를 신청한 운용사는 대신자산운용과 유진자산운용 등 두 곳에 그쳤다.
공모펀드 직상장을 위한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운용사가 24개인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참여는 저조한 것으로 평가된다. 직상장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대신KOSPI200인덱스 증권자투자신탁'과 '유진챔피언중단기크레딧 증권투자신탁' 등 2종으로 직상장 거래는 개시될 전망이다.
공모펀드 직상장은 공모펀드를 거래소에 상장한 주식이나 상장지수펀드(ETF)처럼 편리하게 매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최근 급성장하는 ETF 시장이 대형사 위주로 쏠린 구조를 완화하고, 중소형사에 새로운 성장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됐다.
중소형사는 공모펀드 시장 내 판매망이 약했고, ETF는 높은 마케팅 비용과 상장 업무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았다.
그 대안으로 공모펀드 직상장 제도가 나왔지만, 대형사와 중소형사 간 구조적 격차만 재확인했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우선 대형사들은 직상장 참여 유인이 크지 않았다. 같은 계열의 증권사(판매사)를 통해 펀드 판매망이 이미 구축됐기에 참여 필요성이 크지 않았다.
반면 중소형사는 직상장 대상 펀드의 기준이 설정액 500억 원 이상으로 정해지면서 신청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상장 후 거래 안정성을 위한 조치였으나, 현실적으로 ETF 절반 이상이 500억 미만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기준이 지나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유동성공급자(LP) 확보 문제도 발목을 잡았다. 액티브 펀드의 경우 가격 산정이 복잡하고 유동성 관리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증권사들이 참여를 꺼렸다.
결국 상장을 앞둔 펀드도 코스피200 등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형 상품에 국한됐다. 하지만 이로썬 차별화된 상품 매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공모펀드 직상장이 중소형 운용사의 참여를 활발하게 하기 위해선 대상 펀드 범위를 보다 넓히는 등 요건에 대해 유연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운용사 관계자는 "공모펀드 직상장은 중소형사가 관심이 있을 텐데 규모 요건이 꽤 높다"며 "액티브 펀드가 판매사를 구하지 못했을 때 펀드 직성장이 필요한 데, 지금처럼 패시브 펀드를 직상장하는 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금투협이 제도를 주도했지만, 직상장 대상을 국내형으로 한정한 부분에 공감하지 않는 운용사도 많았다"고 지적했다.
ybnoh@yna.co.kr
노요빈
ybnoh@yna.co.kr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