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뉴욕증시-주간전망] 실적 발표 본격화…중요도 올라간 경영진 발언

25.10.19
읽는시간 0

(뉴욕=연합뉴스) 진정호 연합인포맥스 특파원 = 이번 주 뉴욕증시는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미국 기업들의 3분기 실적과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시장이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뉴욕증권거래소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주 뉴욕증시는 과격한 변동성을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주가 급락을 만회하는 과정에서 시장 참가자들이 여러 가지 재료에 민감하게 반응했기 때문이다.

앞서 10일 트럼프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격분하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할 필요를 못 느끼겠다고 밝힌 뒤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알린 바 있다. 이에 나스닥종합지수는 당일 3.5% 급락했다.

지난주 뉴욕증시에선 급락분을 만회하는 과정에서 재료들이 뒤엉켰다. 트럼프가 시진핑과 정상회담을 예정대로 진행하겠다고 밝히는 한편 중국과의 관계도 문제없다고 언급한 점이 매수 심리를 자극했다. 반면 지역은행인 자이언스뱅코프와 웨스턴얼라이언스뱅코프의 부실 대출 문제는 증시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하며 시스템 리스크 우려를 낳았다.

이번 주는 기업 실적이 주요 재료다. 테슬라와 넷플릭스, 인텔, P&G, 록히드마틴 등이 실적을 공개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번 주 발표되는 기업 실적은 주가지수 향방과 밀접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증시의 핵심 테마인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산업에서 해당 기업들의 사업 영역은 조금 떨어져 있다. 이 기업들이 호실적을 내더라도 전체 증시가 민감하게 움직일 가능성은 작다.

대신 실적 악화가 표면화하면 증시는 예민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관세 불확실성이 실물 경제로 서서히 전이되는 상황에서 실적 악화는 소비 둔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의 약 70%는 소비가 차지하는 만큼 미국 증시는 소비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특히 고용시장 약화 조짐과 연방 정부 셧다운(일시 업무 정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경영진이 실적 발표회 때 내놓는 발언은 주목도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

최근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실적 발표회에서 지역은행 부실 문제와 관련해 "바퀴벌레가 한 마리 보이면 더 많이 숨어 있다는 뜻"이라고 말한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다이먼의 발언은 지난주 자이언스와 웨스턴얼라이언스의 부실 대출 문제가 터진 뒤 월가에 회자되며 경계심을 높이는 역할을 했다.

엑큐베스트글로벌어드바이저스의 에릭 클라크 최고투자책임자는 "기업들이 AI를 어떻게 도입하고 있는지, 인력 구조나 사업 부문별 변화, 업무 혼란이 있는지에 대한 발언을 주시하고 있다"며 "이익 추세의 방향성을 보여줄 단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으로는 18일 발표되는 9월 미국 CPI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9월 CPI는 당초 더 일찍 발표돼야 했으나 정부 셧다운으로 뒤늦게 발표된다.

CPI 결과와 무관하게 시장은 이번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은 물가보다 고용이 연준의 더 큰 관심사라는 게 주요 연준 인사의 공개 발언에서 여러 차례 확인됐다.

특히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연내 양적긴축(QT) 종료를 시사한 만큼 CPI가 예상보다 크게 뜨겁지 않는 한 시장의 금리 전망이 바뀔 가능성은 작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전품목 CPI는 전년 동기 대비 3.1%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월간 기준으로는 0.39%로 소폭 둔화가 예상되고 있다. 변동성이 큰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월간 0.3%, 연간 3.1%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클라크는 "앞으로 3~4개월간 물가가 다소 다시 오름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큰 변동은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요 일정 및 연설

- 10월 20일

9월 콘퍼런스보드(CB) 경기선행지수

- 10월 21일

기업 실적 : 넷플릭스, 제너럴모터스, 록히드마틴, GE에어로스페이스

- 10월 22일

기업실적 : 테슬라, IBM

- 10월 23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9월 기존주택 판매

기업 실적 : 인텔, 블랙스톤, 포드자동차,

- 10월 24일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0월 S&P 글로벌 제조업 및 서비스 PMI

10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기대 인플레이션

9월 신규주택 판매

기업 실적 : P&G

별표(*)는 셧다운 시 발표되지 않음

jhjin@yna.co.kr

진정호

진정호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