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목소리 반영해 AI 선박·로봇·자동차 패키지 지원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정부가 내년부터 조선 3사가 참여하는 'K-조선 테크 얼라이언스'를 가동해 조선산업 인공지능(AI) 대전환에 속도를 낸다.
간담회에서 나온 업계 의견을 수용한 것으로, AI 로봇·자동차·드론 분야에서도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예산·세제·금융·규제 완화 등 패키지 지원에 나선다.
정부는 20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성장전략 태스크포스(TF)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릴레이 현장 간담회 결과 및 조치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8월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발표한 AI 대전환 선도 프로젝트를 구체화화는 과정에서 업계 의견을 듣기 위해 지난달부터 AI 릴레이 현장 간담회를 개최해왔다.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분야별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고, 예산·세제·금융·규제 완화 등 패키지 지원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먼저 AI 선박 분야에서 내년부터 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가 참여하는 'K-조선 테크 얼라이언스'를 가동한다.
AI 기반 자율운항선박 기술과 무인 조선소 기술 관련 연구개발(R&D),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업체들이 협력하는 체계다.
정부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신뢰도 평가 검·인증 기술을 개발하고, 내년 1분기까지 자율운항선박 AI 데이터 생태계 구축 방안도 마련한다.
아울러 2032년까지 국제표준(MASS Code) 제정 동향, 자율운항 기술 수준, 업계 수요 등을 고려해 해운업계 인센티브 지원 필요성을 검토한다.
내수면에서 운행하는 선박 자율운항기술 실증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도 추진한다.
AI 로봇 분야에서는 올해 말까지 AI 로봇 등 AI·딥테크 유니콘 기업 육성을 위한 5천7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내년까지 산업현장·공공분야 실증 확대를 위한 신규 사업과 AI 로봇 기술 개발 목적의 원본 데이터 활용을 위한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을 추진한다.
AI 자동차 분야에서는 연말까지 자율주행차 수요 창출을 위해 도시 단위 실증 추진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또 오는 12월부터 자율주행 등 유망 AI 기업에 그래픽처리장치(GPU) 활용을 지원하고, 내년 1분기에는 자율주행차 등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희망하고 교육여건을 충족한 대학(원) 학생 정원을 늘리기로 했다.
이 밖에도 원본 영상데이터의 R&D 목적 활용을 위해 자율주행차법 개정안을 다음 달 발의하고, 면허·관제·안전 등을 제도화하기 위한 자율주행 산업 관리 방안을 연말까지 마련한다.
AI 드론 분야에서는 드론을 활용한 첨단 행정 서비스 확산을 위해 산불 감시, 철도 선로 안전점검 등 실증도시 구축을 확대한다.
내년 상반기까지 비행 승인 시 비행 특성을 감안한 검사 생략·승인 완화 등 차등화, 행정 절차 간소화 등 규제 합리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 내 협력체계 구축과 우수 사업자 육성, 제조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지원 방안도 내년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스마트농업·수산업, 초고해상도 위성, AI 바이오, K-뷰티 등 초혁신경제 15대 선도 프로젝트의 두 번째 추진 계획도 발표했다.
기업을 중심으로 주관 부처, 유관 기관, 기재부 등이 20개 추진단을 구성하고, 내달까지 로드맵 등 세부 실행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wchoi@yna.co.kr
최욱
wchoi@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