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자기자본 4조원 이상의 종합투자사업자들이 발행어음 시장 주도권을 두고 덩치 키우기에 나서자, 이를 바라보는 중소형 증권사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의 증권업 정책 방향이 대형사 중심으로만 쏠린다는 경계감 속에서 중소형 증권사도 모험자본 관련 정책 논의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소형 증권사는 모험자본 공급을 위한 제도 개선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을 금융당국에 전달하고 있다.
지난 4월 금융위가 내놓은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방안'은 발행어음 및 IMA 사업과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다뤘다. 중소형사와 관련한 내용은 건전성 규제 강화에 대한 내용이 전부였다. 그간 적용되지 않았던 유동성비율 규제를 확대 적용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모험자본 공급을 증권업 본연의 역할로 강조했지만, 중소형증권사를 위한 정책이 없자 업계도 의견 개진에 나섰다.
우선 중소형 사업자로서의 애로사항과 기업금융강화 방안을 정리한 뒤, 당국에 전달했다. CEO들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상견례 성격의 첫 간담회에서도 중소형증권사의 모험자본 공급 기능을 확대할 수 있도록 관심을 요청했다.
중소형사들이 가장 기대를 거는 부분은 중기특화증권사 제도의 인센티브 개선이다.
중기특화 증권사 제도는 기업금융에 특화된 중소형 증권사를 육성하기 위해 2016년 도입됐다. 지정 증권사들을 통해, 중소·기업의 자본시장 활용을 지원하겠다는 목표가 담겼다.
IBK투자증권의 분석에 따르면, 첫 해 2조6천억원 수준이던 중기특화 증권사의 모험자본 공급 규모는 내년까지 4조4천284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첫해 6곳이었던 지정사는 지난해 8개 사까지 늘었다.
이들 증권사는 중소기업의 IPO·유상증자·채권발행 등 기업금융 업무를 지원하고, 직접 투자 및 출자와 펀드 운용을 통해 자금을 투입한다. 지원 실적 역시 매년 늘어나고 있다.
업계에서는 제도의 내실화를 가장 큰 과제로 꼽는다. 우선 중기특화증권사 전용 펀드의 부활을 요구하고 있다. 이 펀드는 중기특화 제도 도입 첫 해 1천300억원 규모로 도입됐으나, 이후 추가 조성은 없었다. 새로 조성된 펀드에는 종투사가 의무적으로 LP로 참여토록 하고, 이를 모험자본 실적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한 자금조달을 지원해달라는 의견도 나왔다. 제도의 인센티브 중 하나로, 중기특화 증권사는 한국증권금융을 통한 자금 조달 시 금리 우대와 약정한도 확대, 만기 확대 등의 인센티브를 받는다. 다만, 담보 제공 등의 이유로 추가분을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운영자금 추가분에 대해, 조달 기준을 완화해달라는 것이 핵심이다.
중소형 증권사들은 자본 건전성 규제 완화 필요성도 함께 제기한다. 수조 원대 자기자본을 보유한 대형사와 달리, 중소형사는 NCR(순자본비율) 산정 구조상 불리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같은 위험가중치가 적용되더라도, 자기자본이 작은 회사일수록 건전성 비율의 변동 폭이 더 크게 나타난다.
이들 회사는 특히 비상장 중소·벤처기업 투자(위험가중치 20%)와 창투 및 신기술조합 출자(16%)에 서로 다른 위험값이 적용되는 점을 지적한다. 투자 목적이 모두 중소기업 성장 지원이라는 점에서, 위험값을 통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전체 기업의 99.9%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자본 공급은 대형사 위주의 판에서는 불가능하다"며 "틈새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는 중소형증권사에 대한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연합뉴스 자료사진]
gepark@yna.co.kr
박경은
gepark@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