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전체 생명보험사 대상 출시…보험 상품의 서비스화 추진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수용 기자 = 오는 30일부터 5개 생명보험사가 계약자의 사망보험금을 생전 활용 가능한 연금으로 지급해 노후 소득 보장을 돕는다.
금융위원회는 22일 사망보험금 유동화 점검 회의를 통해 출시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고 밝혔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보험 계약자가 사망보험금을 담보로 이를 생전 연금처럼 받아 쓸 수 있는 제도다.
이번 1차 출시는 삼성생명, 한화생명, 교보생명, 신한라이프, KB라이프 등 5개 사가 대상으로, 유동화 대상 계약은 41만4천건, 가입 금액은 23조1천억원이다.
금리확정형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담보로, 10년 이상의 보험료 납입을 완료한 상태로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한 조건에서 신청 시점 보험계약대출 잔액이 없는 월적립식 계약을 대상으로 한다.
만 55세 이상 계약자는 사망보험금의 최대 90% 이내에서 신청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이달 30일 1차 출시 이후 내년 초까지 전체 생명보험사에서 사망보험금 유동화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유동화 대상은 약 75만9천건, 35조4천억원으로 확대된다.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의 해약환급금을 재원으로 하므로 해약환급금이 많이 적립된 고연령 계약자일수록 더 많은 금액을 수령한다.
40세에 가입해서 10년간 1천872만원을 납입해 사망보험금 1억원 보험계약을 보유한 경우, 55세에 유동화를 시작하면 월 평균 12만7천원과 1천만원의 사망보험금을 받는다.
이후 65세 시작인 경우 월 18만9천원, 70세는 월 22만2천원, 75세는 월 25만3천원을 받는 식이다.
정부는 보험상품을 통해 노후 대비를 지원할 상품과 제도를 지속해서 개발하고 지원할 예정이다.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는 유동화 금액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넘어 '보험상품의 서비스화'를 촉진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로 활용한다.
정부는 서비스형 상품 준비 상황을 지속 점검해 제도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혁신금융서비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연금보험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톤틴·저해지 연금보험은 내년 초 출시 예정이다.
sylee3@yna.co.kr
이수용
sylee3@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