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보험개발원이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수리기술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보험개발원은 22일 경기도 이천 자동차기술연구소에서 모빌리티 연구동 준공식을 개최했다.
보험개발원 자동차기술연구소는 그간 충돌시험을 통한 손상성·수리성 연구, 정비요금 기준 개선, 수리기술 고도화 등을 통해 국내 자동차보험 기술연구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해 왔다.
이번 모빌리티 연구동은 연면적 1천964㎡, 지상 2층 규모의 전용 건물로 전기차 배터리 진단 등 연구 장비, 자율주행차 센서 점검·교정 장비, 신소재 차체수리 장비 등 31종의 첨단 장비를 갖췄다. 종합 자동차 수리 연구시설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 교환·수리 기준과 자율주행차 센서 점검·교정 및 수리 표준 마련, 신소재복합소재 차체의 수리기술 연구, 외산차·이륜차 수리비 산출 체계 확립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보험개발원은 모빌리티 연구동을 기반으로 핵심 연구과제를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해외 연구기관과도 손잡아 향후 UAM(도심항공교통) 등 미래 모빌리티 영역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허창언 보험개발원장은 "첨단 기술이 집약된 미래차의 확산은 새로운 사고와 분쟁 요인을 동반한다"며 "모빌리티 연구동을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수리 기준을 선도해 국민 안전과 보험산업의 신뢰성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yglee2@yna.co.kr
이윤구
yglee2@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