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미 기자 = 최근 미국 고용지표 둔화의 배경에는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약화보다는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공급 축소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관세정책과 연방공무원 감축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지만, 고용 둔화의 절반 가까이는 이민 제한 등 공급 제약 요인에서 비롯됐다는 평가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고용 감소의 45%는 이민 감소, 40%는 관세정책, 연방공무원 감축이 8%를 차지했다.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는 작년 월평균 16만8천명에서 올해 1분기 11만1천명, 5~8월에는 2만7천명으로 급격하게 줄었다.
한은은 이민 감소가 노동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줬다는 평가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평가와도 대체로 부합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이민자 변화만큼 노동 공급이 감소하고 있다"면서 '이상한 균형'(curious balance)이라고 칭한 현상을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보고서는 올해 초 시작된 이민제한 정책으로 순유입 이민이 급감했으며 전체 노동시장과 달리 외국인 인력 시장에서는 수요 우위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순이민 감소로 줄어든 경제활동인구는 38만명으로 추정했다. 이 가운데 20만명은 지난해부터 줄어든 추세적 감소의 지속에 따른 것이며, 18만명은 이민 제한정책 시행에 따른 것이다.
관세정책은 정책 불확실성 확대, 기업 영업이익 축소 등으로 이어지면서 제조업을 중심으로 채용 수요를 감소시켰다.
올해 7월까지 관세정책으로 인한 인력수요 감소 분은 누적 24만명으로 추산했다.
같은 기간 트럼프 정부에서 신설된 정부효율부(DOGE)가 단행한 연방공무원 감축 프로그램으로 인한 감소 규모는 9만3천명에 이른다고 보고서는 추정했다.
정책 요인만 보면 관세정책(40%), 이민제한(22%), 연방공무원 감축(8%) 순으로 전체의 70% 정도에 기여했다.
한은은 이같은 고용둔화 요인을 감안해 평가할 때 "최근 기업들의 고용흡수 여력이 약화되긴 했으나 전반적인 노동시장 수급 상황은 아직 양호하고 급격한 고용침체 발생 가능성도 낮다"고 판단했다.
그간 높은 수준을 이어온 초과 고용 경향이 약해지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노동시장 지표는 여전히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수급 측면에서 보면 노동공급의 급격한 감소세는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인다. 순이민이 월 6만명대로 낮아져 이민 노동력의 추가 급감 가능성을 낮게 봤다.
노동수요의 경우 성장세 약화와 관세정책·연방공무원 해임 등 기존 정책이 이어지면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 정부는 올해 말까지 연방공무원 수를 30만명, 내년까지 비국방 부문에서만 추가 10만명 감축할 계획이어서 이는 노동수요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보고서는 "최근의 빠른 고용 위축이 다소 진정되는 가운데, 실업률은 경제 성장세 약화가 이어지는 내년 상반기까지 완만한 속도로 상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smjeong@yna.co.kr
정선미
smjeong@yna.co.kr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