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금감원, 내달 초 '금융소비자보호 대토론회'…이찬진표 드라이브 시동

25.10.27
읽는시간 0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금융감독원이 국정감사 직후인 11월 초 '금융소비자보호 대토론회'를 열고 소비자보호 강화에 본격 시동을 건다.

이찬진 원장이 강조해온 '소비자 중심 감독체계'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구체적인 실행 국면에 들어서는 것으로, 금감원은 현장 의견을 토대로 '이찬진표 소비자보호'의 청사진을 제도와 조직으로 현실화할 방침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다음 달 초 '금융소비자보호 대토론회' 개최를 준비 중이다.

이번 토론회는 은행·보험·증권 등 업권별 현장의 목소리를 폭넓게 수렴하고 소비자보호 제도와 감독의 사각지대를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금감원은 이를 통해 감독·검사·소비자보호 기능을 하나의 축으로 묶는 '이찬진표 감독체계'의 방향성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대토론회는 금감원이 국감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하려던 핵심 과제의 출발점으로, 이 행사를 시작으로 금감원이 소비자보호를 실질적으로 본격화한다고 보면 된다"며 "내년 1월 예정된 대국민 발표회를 목표로 소비자보호 체감 성과를 만들기 위한 내부 과제도 발굴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찬진 원장이 강조하는 '소비자 보호중심'의 실현은 단순한 조직개편이 아니라 감독 철학의 재정의에 가깝다는 평가다.

기존 감독 체계가 절차와 제도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금융상품을 가족에게도 권할 수 있을 만큼 안전하게 만들겠다'는 정성적 기준이 제도 설계의 중심으로 들어오고 있다.

이는 감독과 민원이 분절돼 있던 감독체계를 소비자 중심의 통합 구조로 재편하려는 시도로, 이찬진 체제의 핵심 철학이 실질적 제도로 옮겨지는 과정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기조는 자연스럽게 조직개편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금감원은 이미 부서별로 개편 초안을 공유하며 의견을 수렴하는 단계에 들어섰다.

단순한 인사나 기능 재배치가 아니라 소비자보호를 중심축으로 한 '감독체계 리셋' 작업이라는 점에서 내부의 긴장감도 상당하다.

다른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하드웨어를 고치는 수준이 아니라 콘텐츠와 소프트웨어를 채우는 단계"라며 "상품 설계와 제조 단계에서부터 결함이 있는 상품이 나오지 않도록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금융회사 심사 과정에서도 소비자 시각에서 들여다보는 세부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말했다.

조직개편 추진 과정에서 내부 직원들 사이의 반발이나 저항은 거의 없다는 점도 눈에 띈다.

오히려 '소비자보호를 위한 감독원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다른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익명 게시판에 관련 글이 올라왔지만 내부에서는 대체로 소비자보호 중심 개편 방향에 공감하는 분위기였다"며 "조직개편의 큰 방향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크지 않다"고 전했다.

금감원은 이번 토론회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조직개편 세부안을 확정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현장 감독과 상품 심사 과정에 반영할 방침이다.

내부에서는 이번 토론회가 단순한 상징 행사를 넘어 감독원의 체질을 소비자 중심으로 완전히 바꾸는 시발점이 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제는 어떤 조직을 만들지보다 그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소비자를 실질적으로 보호할 것인가가 핵심"이라며 "그만큼 금감원 내부에서도 소비자보호에 대한 인식 변화가 크다"고 말했다.

질의에 답하는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국회에서 열린 2025년도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1 hkmpooh@yna.co.kr

sgyoon@yna.co.kr

윤슬기

윤슬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