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최근 들어 부진한 주가와 높아진 변동성
- 펀더멘탈 이상 무. 차익실현 매물이 단기 조정을 만드는 구간으로 판단함
- 펀더멘탈 및 환경 이상 무
■최근 들어 부진한 주가와 높아진 변동성
ㅡ 지난 7월 중순부터 강한 상승세를 보이던 HDC현대산업개발의 최근 주가가 부진함
ㅡ 7월초 대비해서는 아직까지도 30% 가까이 상승한 상태이나 9월 들어와서는 고점 (9/2 26,500원) 대비 13% 이상 하락
ㅡ 주가 하락과 높아진 변동성이 눈에 띔.
9/9 이후 8영업일 동안 5% 이상의 하락이 3일, 3% 이상의 상승은 3일이었음.
특히 장중에도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피로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
■펀더멘탈 이상 무.
차익실현 매물이 단기 조정을 만드는 구간으로 판단함
ㅡ KB증권에서는 현재의 주가 조정이 차익실현 매물의 출회에 따른 단기적인 조정이라고 판단함
ㅡ HDC현대산업개발은 3월 초 ~ 7월 중순까지 4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17,000원대에서 주가가
횡보하였는데, 이 시기 주식을 매수하였던 투자자들 중 일부는 7월 이후 주가 급등과정에서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졌을 것으로 판단함
■펀더멘탈 및 환경 이상 무
ㅡ 1) 광운대 역세권 사업: 11월 중 착공 및 모델하우스 오픈 계획 변동 없음
ㅡ 2) 서울 아파트 가격 추이: 지난 9/20 한국공인중개사협회가 발표한 8월 월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에서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전월 대비 4%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남.
그러나 국가공인기관인 한국부동산원, 민간기관인 KB부동산, 부동산114에서는 모두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발표 (각각 1.27%, 0.89%, 0.26%).
한국공인중개사협회의 경우 올 7월부터 데이터를 발표하기 시작한 만큼 아직 그 수치에 의미를 부여하기는 이르다는 판단.
무엇보다 HDC현대산업개발 투자자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지금의 매매가 변동보다 2017~2022년 서울 부동산의 유래 없는 상승이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음
ㅡ 3) 정부의 가계 대출 규제: 향후 광운대 역세권 사업 수분양자 입장에서 2028년 입주 전까지 필요한 것은 중도금 대출.
중도금 대출의 경우 정부 가계대출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지나치게 우려할 필요는 없음
ㅡ 4) 일부 지역 청약 과열: 분양가 상한제로 인해 서울 일부지역의 청약과열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면서 시장을 자극하는 상황.
분양가 상한제의 일부 완화가 있을 경우 토지를 다수 보유한 HDC현대산업개발의 수혜 가능
■2015년보다 지금이 좋다.
디벨로퍼가 토지를 적시에 산다는 것의 의미를 보여줄 광운대 사업
ㅡ KB증권에서는 지금의 HDC현대산업개발이 2015년 주가 전성기 때의 (구)현대산업개발보다 우수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음
ㅡ 1) 자체잔고 규모와 퀄리티가 2015년보다 우수하고, 2) 무엇보다 자체부지 매입시기가 압도적으로 좋기 때문
ㅡ 디벨로퍼가 토지를 적시에 산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지 광운대 역세권 사업이 진행되면서 확인될 것
ㅡ 2023년 10월 커버리지 재개 이후 KB증권이 HDC현대산업개발을 변함없는 업종 최선호주로 추천해 올 수 있었던 이유임
ㅡ 1) 단기: 광운대 역세권 착공, 2) 중기: 실적 및 현금흐름 개선, 3) 장기: 디벨로퍼 모델로 진화,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인 만큼 조정 기간을 비중확대의 기회로 삼을 것을 권함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