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분기 실적 예상 상회1) 광고 매출 21% 성장2) 영업마진 개선세 (+19%p YoY)일부 비중 덜어내는 리밸런싱 적절 판단
- - 매출 +21%, EPS +51% YoY- 앱 DAU 33억명, 광고 수익 21% 증가- 전자상거래 기능 수익 극대화- 광고 노출 수 +6%- 광고당 평균 가격 +14% - 릴스 일간 45억번 이상 재공유- 쓰레드 MAU 3.2억명 돌파, 하루 100만명씩 가입- 페이스북 MAU 30억명 달성
- 리스크 요인
■분기 실적 예상 상회
1) 광고 매출 21% 성장
2) 영업마진 개선세 (+19%p YoY),
일부 비중 덜어내는 리밸런싱 적절 판단
메타의 분기 실적은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며, AI를 활용한 광고수익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1) 메타의 디지털 광고 매출은 21%대 성장을 기록 중이며, 2) 비용 절감에 따른 영업마진 개선세 (+19%p YoY)도 나타나고 있다.
다만, 주가도 높게 상승하여 (1년 72.4%), 이익 성장성 (2025~2027 EPS CAGR)을 반영한 주가 멀티플 (12MF P/E 27.0배)은 높은 수준 (PEG 2.4배)이므로, 일부 비중을 덜어내는 (변동성 축소) 리밸런싱이 적절해 보인다.
■매출 +21%, EPS +51% YoY,
앱 DAU 33억명, 광고 수익 21% 증가,
전자상거래 기능 수익 극대화,
광고 노출 수 +6%,
- 광고당 평균 가격 +14%
메타의 4분기 매출은 21% 증가한 484억 달러로 시장 예상을 3.0% 상회했으며, 총비용 증가 (250억 달러, +5% YoY)에도 EPS는 8.02 달러 (+50.5% YoY)로 예상을 18.7% 상회했다.
12월 기준, 약 33억명이 매일 메타의 앱을 이용했으며, 분기 광고 수익은 468억 달러로 21% 증가했다.
전자상거래가 매출 성장에 기여했으며, 아시아 태평양과 유럽 지역에서 각각 23%, 22% 성장을 보였다.
광고 노출 수는 6%, 광고당 평균 가격은 14% 증가했다.
리얼리티 랩 부문 매출은 11억 달러로 1% 증가했으며, 아직 영업손실 50억 달러 적자를 기록 중이다.
4분기에는 인스타그램에서 비디오 시청 시간이 전년대비 두 자릿수 비율로 증가했고, 페이스북은 MAU 30억명을 달성했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