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길어진 통화정책 시차, 효과가 느릴수록 장기 물가 우려를 내재
KB Macro
9월 FOMC에서 연준은 인플레이션의 추가 상승을 감수하더라도 고용 안정에 좀더 집중해 선제 대응하겠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그런데 통화정책이 경제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는 전에 비해 길어졌다.
금리 인하의 효과가 느리게 관찰되면 더 적극적인 인하에 대한 명분 및 기대 또한 강화될 수 있는 환경인데, 이는 장기 물가 리스크가 동시에 커지는 부작용을 내재한다.
■ 팬데믹 이후 경기의 통화정책 민감도가 낮아짐
2022~2023년 금리 인상기에, 인상에 따른 경기 긴축 효과는 상당히 느리게 나타난 바 있다.
개인소비를 추동했던 강력한 재정정책이 아직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도 했던 데다가 이미 모기지 금리를 매우 낮은 수준에 고정한 가구가 많았던 영향이다.
30년 만기 모기지 금리를 3% 미만에 대출한 가계는 팬데믹 이전 전체 가계의 5% 미만에 불과했으나 2022년 들어서는 25%로 급증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도 긴축의 효과가 경제에 제한적으로만 전달됐다.
반대로 지금처럼 금리를 내리면, 통상 가계가 모기지를 재융자하면서 소비여력을 확보하는 것이 경제 활동성을 높이는 주요한 연결고리다.
하지만 모기지 금리를 비싸게 계약한 가구의 비중이 높지 않은 탓에, 앞의 상황과 유사하게 금리 인하의 경기 부양 효과 또한 느리게 관찰될 가능성이 있다.
모기지 금리를 4% 미만에 계약한 가구 비중은 2022년 65%에서 다소 낮아지기는 했으나 아직도 53%가 넘는 반면, 모기지 금리를 6% 이상에서 대출한 가계는 전체의 19%, 5~6%도 10% 미만으로 적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