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허동규 기자]
"카드사, 애플페이·스테이블 코인 도입시 수익성 악화"
"해외 ABS 발행 등으로 자본조달 다원화해야…비용조달 시급"
(서울=연합인포맥스) 허동규 기자 = 애플페이와 스테이블 코인 도입으로 국내 신용카드사들의 수익성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카드사들이 자본비용 절감 등을 통한 비용 효율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성대 김상봉 교수는 23일 중구 은행연합회관에서 열린 '카드사의 비용 효율화와 신수종 사업전략' 춘계세미나에서 "애플페이 시장이 확대되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효과는 있겠지만, 카드사가 부담해야 할 비용 부담은 커진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최근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애플페이를 도입했고, 신한·국민카드도 애플페이 도입을 추진하는 등 국내 애플페이 시장이 앞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카드사들은 시장점유율을 늘리기 위한 차원으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단말기 설치와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스템 도입에 따른 비용, 브랜드 수수료 등의 영향으로 비용이 증가해 카드사 수익은 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현재 국내 NFC 결제 단말기 보급률이 낮고, 삼성페이도 수수료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로 꼽았다.
김 교수는 "단말기 교체비용이 평균 20만원 정도인데, 교체 대상 가맹점을 300만개로 단순 계산해도 6천억원이 필요하다"면서 "대규모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카드사와 가맹점 누가 단말기 교체 비용을 부담할 것인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애플페이 시장이 커지면 기존에 독점적 지위를 누리던 삼성페이도 수수료율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면서 "카드사가 부담해야 할 비용 부담이 커지는 셈"이라고 우려했다.
여기에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스템 도입 시에도 카드사 및 전자지급결제대행(PG)의 경쟁력 약화가 발생할 수 있다며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발제에 나선 서지용 한국신용카드학회장은 "국내 채권(여전채) 발행에 편중된 카드사 조달 구조로 인해 고금리 시기에 카드사의 차환 부담이 증가한다"면서 "해외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통해 조달금리를 낮추거나 외화채권과 신종자본증권 등으로 조달원을 다원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서 회장은 "연체율·리스크 관리를 통한 신용등급 개선이 중요하다"면서 "신용등급 1등급 상승 시 카드채 발행금리는 0.1~0.4%p(포인트) 하락하고, 총자산수익률(ROA)도 최대 0.1%p 상승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충성 고객 확보에 유리한 PLCC 발행을 확대해 비용을 절감하고 영업 위험을 축소해야 한다"며 "PLCC는 회원 모집 비용, 광고선전비 등 판매관리비를 절감해 매출 변동에 따른 영업이익 변동을 축소하고 시장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다"고 강조했다.
dghur@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