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에 '민(民)' 적은 권영국…"왕이 아닌 민중 대표를 뽑는 의미"

2025.05.23 23:03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손바닥에 '민(民)' 적은 권영국…"왕이 아닌 민중 대표를 뽑는 의미"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 준비하는 권영국 후보

(서울=연합뉴스)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2차 후보자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2025.5.23 [국회사진기자단] photo@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온다예 기자 =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는 손바닥에 '백성 민(民)'을 적고 대선 토론에 임한 이유에 대해 "이번 선거가 민생과 민중을 위한 대표를 뽑는 선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권 후보는 23일 여의도 KBS 스튜디오에서 대선후보 2차 TV토론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3년 전 윤석열 씨가 '왕(王)' 자를 쓰고 나왔다"며 "저는 노동자의 마음을 모아 (손바닥에) 쓰고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민이란 뜻은 왕이 아니다"며 "이번 선거는 우리 노동자 서민들을 대표하고 가지지 못한 사람들, 사회적 약자를 대변할 수 있는 대표를 뽑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생과 민중을 위한 대표를 뽑는 선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민 자를 쓰고 이자리에 나왔다"며 "왕이 아니라 민중의 대표를 뽑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권 후보는 왼 손바닥에 한자로 '민'을 적고 나와 눈길을 끌었다.

과거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토론회에서 손바닥에 '임금 왕(王)'을 적은 일을 풍자하려는 의도다.

윤 전 대통령은 2021년 10월 국민의힘 대선 경선 토론회에서 손바닥에 한자로 적힌 '왕' 자가 포착돼 논란이 됐다.

일각에서는 토속신앙이나 무속에 관련된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당시 지지자가 기운을 내라고 적어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권 후보는 이날 토론과 관련해서 "역시 1대 3 (구도)였다"며 "기후나 연금 등이 실제로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못해서 안타깝다"고 평가했다.

그는 "우리 삶에서 기후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사회 통합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 밖의 이야기처럼 말하는 후보들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dy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온다예

온다예

돈 되는 경제 정보 더 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