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채권시장의 분명한 메시지…"이런 길로 가지 말자"
(서울=연합인포맥스) 권용욱 기자 = 장기물 위주로 금리가 급등하는 채권시장은 분명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경제자문위원회에서 활동한 헤더 부셰이는 26일(현지시간) 야후파이낸스를 통해 "최근 금리 급등은 스태그플레이션과 더 심각한 경제적 긴장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부셰이는 "채권시장의 메시지는 분명하다"며 "이런 길로 가지 말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시장은 급증하는 미국의 재정 적자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감세법안의 재정적 영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3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 21일 이후 현재까지 계속 5%대에 머물고 있다.
위즈덤트리 글로벌의 제러미 슈워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은 관세 뉴스, 그리고 부채 및 재정 적자라는 정책 프레임워크 두 가지 핵심 사안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적자에 대한 우려로 금리가 급등하는데 실제로 정부가 지출을 줄이지 않는다면, 그것은 핵심적인 경기 하방 위험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의 재정 적자 우려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채권시장이 느끼는 불안감은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이란 새로운 위협이 가해진 결과이기도 하다. 이 법안은 지난주 연방 하원을 통과했다.
미국 초당파 정책 센터의 경제 정책 책임자인 샤이 아카바스는 "지속 불가능한 재정 상황으로 채권시장에서 매우 어려운 역학 관계(장기 금리 급등)가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는) 부채 상환을 위해 더 높은 이자율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은 궁극적으로 경제 전반의 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관세 역학 관계에서 볼 수 있는 인플레이션도 부추기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번 감세안은 개인 소득세율과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세액공제 확대 등의 기한 연장을 담고 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7년 도입됐던 조치를 연장하는 게 골자다. 미국 의회예산국(CBO)은 이 법안이 상원에서 최종 확정되면 연방 재정적자가 향후 10년간 3조8천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도이체방크의 브렛 라이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하원을 통과한 법안은 아마도 재정 적자의 최저치일 것"이라며 "상원은 자신들의 의견을 낼 것이고, 이는 지출 삭감 정도가 지금보다 더 줄어든다는 뜻"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이 법안이 1조 달러 이상의 절감 효과를 주장하고 있지만, 그 대부분은 현재 대통령 임기 이후에나 실현될 수 있는 것"이라며 "그게 실제로 일어나겠는가?"라고 의구심을 표했다.
아스테로조아 캐피털의 조 헤게너 CIO는 "30년물 같은 채권 커브의 마지막 구간에는 막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최근 시장 움직임은 증시와 함께 미국 경제 전반에 중대한 위험 요소"라고 평가했다.
그는 "투자자들이 슬슬 겁을 먹기 시작했다는 신호가 보인다"며 "일본과 해외에서 벌어지는 일들은 그 위험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고 분석했다.
ywk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