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

[투자의 시대] 사우디의 거대한 전환이 의미하는 것 (버냉키가 글로벌 과잉저축에 대해 지금 다시 생각한다면?)

KB 시황/파생
2022.10.19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벤 버냉키가 2005년에 주장한 ‘글로벌 과잉저축’: 지금은 어떤 상황일까?
벤 버냉키 前연준 의장은 연준 이사였던 2005년에 Virginia Association of Economists에서 연설을 했는데, 그 주제는 ‘The Global Saving Glut and the U.S Current Account Deficit (글로벌 과잉저축과 미국의 경상수지 적자)’이었다.
내용의 핵심은 <그림 1>을 참고할 수 있겠다.

그런데, 2005년에는 매우 당연한 현상이었기 때문에 그 언급이 없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지금은 한 가지 추가해서 고민해야 할 문제가 있다.
바로 ‘탈세계화’라는 점이다.
2000년대에는 미국과 중국, 사우디의 관계가 우호적이었던 ‘세계화 시대’였기 때문에, 이들 국가들이 경상수지 흑자를 통해 축적한 자본을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것에 따른 정치적인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탈세계화 시대가 되면서 미국이 재편하려는 New Supply Chain에서 제외될 리스크에 직면한 국가들이 과거와 같은 선택을 할 것이라고 기대하긴 어렵다 <그림 3, 4>.
특히 2022년 원자재 가격 강세의 수혜를 입고 있는 사우디가 다시 한번 경상수지 흑자를 축적할 가능성이 높은 현 시점에서 과거와는 다르게 어디에 투자할 것인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겠다 <그림 9>.
하인환 하인환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