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Buy, 목표주가 7.2만원 (유지)1H POE 판매량 약 6만톤. 연간 목표치 10만톤 초과달성할 것
- 2Q 영업이익 1,428억원. 컨센서스 +15% 상회
- 3Q 영업이익 1,444억원 (+1% QoQ, +1,102% YoY) 추정
■Buy, 목표주가 7.2만원 (유지)
1H POE 판매량 약 6만톤.
연간 목표치 10만톤 초과달성할 것
DL에 대한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7.2만원을 유지한다.
주요 사업 (POE, PB, 발전업, 호텔)이 호조세이며, 케미칼 제품 전환 및 PB 증설도 시기 적절했기 때문이다.
4Q23에 생산을 시작한 고부가 POE 판매량은 상반기 약 6만톤으로, 연간 목표치 10만톤을 초과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2Q 영업이익 1,428억원.
컨센서스 +15% 상회
2Q24 매출액은 1.5조원 (+6% QoQ, +22% YoY)을 기록했다.
판매량/가격 증가에 기인한다.
영업이익은 1,428억원 (-17% QoQ, 흑전 YoY)으로 컨센서스 (1,240억원)를 +15% 상회했다.
컨센서스를 상회한 요인은: DL케미칼 (본사)의 고부가 POE 판매량이 1Q 2.5만톤 ? 2Q 3.5만톤으로 확대 (추정)되었으며, PB (윤활유) 강세/성수기 효과에 기인한다.
일회성 이익을 제외한 DL케미칼 영업이익은 1Q 478억원 ? 2Q 571억원으로 증가했다.
자회사들도 대부분 견조한 시황/실적이 이어지고 있다.
미국 Cariflex는 판매량이 증가했고, 미국/호주 에너지는 발전단가가 상승했으며, 글래드 호텔은 외국인 입국이 확대되고, 모터스는 판매량이 증가했다.
부타디엔 강세에 따른 판가/원가 상승도 PB/Kraton 이익에 기여했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