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2025년 B/S 정책 (2) 만기 축소 프로그램

KB 중앙은행 칫싯 (CHEAT SHEET)
2024.11.15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이슈 분석

연준의 양적긴축은 2025년 3분기에 종료될 것으로 예상한다 (‘11/8, 2025년 B/S 정책 (1) 3분기 QT 종료’).
QT 종료 시기를 전후로 연준의 보유 국채 구성에 대한 논의가 커질 전망이다.
연준이 보유한 국채의 만기를 축소할 경우 기간 프리미엄 경로를 통해 금리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며 (2011년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의 반대 효과), 정책 발표 직후에 그 효과가 가장 클 전망이다.



■ 글로벌 통화정책


[US]

- 기준금리: 시장의 기준금리 전망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
2025년 기준금리 전망이 9월 FOMC 직전 대비 100bp 이상 상승 (약 3% → 4%).
트럼프 당선 후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과 연준 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 등이 기준금리 인하 기대 축소에 영향.
KB증권은 10월 CPI가 예상에 부합했고 주거비 제외 근원 서비스 인플레이션의 기여도가 +0.07%p로 낮아졌기 때문에 12월 인하는 가능하다고 판단



- 주요 발언: 연준 위원들은 대체로 매파적인 톤으로 발언.
파월 의장은 최근 지표에 근거하면 기준금리 인하에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평가.
로건 총재는 이미 중립금리 추정 밴드의 상단에 근접했을 수 있다며 매우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음.
두 위원 모두 추가적인 인하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



[ex-US]
- ECB (p.
11~14): 9월 산업생산 -2.0% MoM로 부진하며 경기 회복 기대 다소 지연.
10월 회의 의사록에서는 성장률 전망에 대한 하방 리스크와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약화가 두드러진다고 평가.
주요 선진국 중 유일하게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확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