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업

Not Rated

청담글로벌 (362320)

S2C 거래처 확대와 북미 시장 진출 기대
2024.12.10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소비자 빅데이터 기반의 중국 화장품 1차벤더 유통 업체


청담글로벌은 2017년 설립된 화장품 전문 유통업체로, 주로 JD.com, 티몰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에 1차 벤더로서 상품을 유통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브랜드사에게 컨설팅, 마케팅, 유통을 아우르는 종합 솔루션을 제공한다.


■3Q24 Review: S2C 매출 증가에 따른 이익률 개선


3Q24 실적은 연결기준 매출액 625억원 (+4.6% YoY, -5.1% QoQ), 영업이익 42억원 (+336.7% YoY, +181.4% QoQ, OPM 6.7%), 지배주주순이익 12억원 (+16.2% YoY, +31.9% QoQ)을 기록했다.
3분기 이익 개선의 주요 요인은 S2C (Social to Consumer) 매출 증가와 예비상장청구한 자회사 바이오비쥬 실적 증가로 판단된다.



■유통부문, S2C 신규 거래처 확장
단일 채널 리스크 낮춰


청담글로벌은 온오프라인 B2B 채널 다각화 + S2C 거래처 확대를 통해 유통 채널 다변화를 시도 중이다.
S2C 사업 비중 확대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고 높은 마케팅 효율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기존에 JD.com 단일 채널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가 리스크로 작용했으나, 2023년부터 월마트차이나 및 S2C (틱톡, 콰이쇼우, 샤오홍슈 등) 신규 거래처를 확대해 나가는 중이다.
이에 따라 1) 다품목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게 됐으며, 2) 매출 비중 다변화 및 3) 단일 채널 의존 리스크에 대한 우려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DMS 자체 솔루션 구축 및 북미 지역 진출


Management System) 솔루션을 런칭하여 브랜드 별 실시간 물류 및 재고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했다.
경쟁력 있는 플랫폼 솔루션을 기반으로 S2C 대상 채널 확대를 위해 2025년 북미 지역 진출이 예상된다.
북미 진출 시 자회사 바이오비쥬 (HA필러/보톡스)와 바이슈코 (해외직구 플랫폼)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리스크 요인

리스크 요인은 1) 중국 중심의 매출 구조, 2) 화장품 중심의 상품 카테고리, 3) 경쟁 심화이다.
한유건 한유건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