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매크로

미국: 기대 물가 상승의 작용과 반작용

KB Macro
2024.12.20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성장 전망과 기대 물가 높아지는 미국
미국의 성장 전망과 기대 물가가 높아지고 있다.
양호한 노동시장 흐름은 소비 여건을 뒷받침하며 연말 쇼핑시즌의 양호한 실적을 이끌고, 금리 인하의 효과 및 규제 완화, 법인세율 인하에 대한 기대는 기업 심리와 대출수요 전망 개선으로 이어지고 있다.
견조한 수요 전망이 유지되는 이면에서는 물가 리스크도 함께 확대 중이다.
물가 우려가 높아지며 연준의 인하 전망이 후퇴하는 모습도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 이번 인하 사이클의 인하 예상 횟수를 낮춘 연준
연준은 12월 FOMC에서 점도표를 통해 내년 정책금리 인하 횟수를 대폭 낮춰 잡았다 (12/19 임재균, 12/19 김일혁).
Dual mandate인 고용과 물가 전망이 비교적 균형적이라면 연준은 장기 적정금리 수준인 중립금리를 감안해 정책금리를 결정하지만, 둘 중 리스크가 기울어지는 쪽이 생기면 그 목표를 우선순위에 두게 된다.
지난 11월의 금리 결정이 전자의 상황에 가까웠다면, 12월에는 물가의 상방 가능성에 약간 더 무게추를 옮겨 둔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파월 의장은 ‘중립금리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장기적인 균형 수준에 대한 눈높이도 좀 더 높일 필요를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권희진 권희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