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매크로

미국: 트럼프 2.0 시대의 산업정책

KB Macro
2025.02.28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민간의 자율성 확대를 중심에 둔 정책 기조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에서는 ‘시장 원리’를 강조하고 민간의 자율성 확대를 통한 생산성, 성장성 개선을 도모하는 반면, 정부의 직접적인 재정지출은 대폭 줄이려 한다.
이민정책 등 일부 매우 제한적인 영역에서 지출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나 이는 산업정책으로서의 기능은 매우 낮을뿐더러 오히려 효율적인 자원 분배에 해롭다.
대신 트럼프 행정부는 DPAD (미국 내 생산에 대한 공제 제도) 부활로 실효 법인세율을 낮추거나 법적인 산업규제를 완화하는 등 민간기업의 활동성을 높일 유인이 있는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 시장 원리를 강조하는 정책의 수혜, 투자 여력과 수익성이 있는 대형 성장기업에게 가장 유리
우리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가 투자 여력이 있고 이를 수익성으로 전환할 수 있는, 이미 시장 지배력이 높은 기업에 가장 유리할 것으로 예상한다.
기업규모가 클수록 법인세 인하시 자본투자 증가율이 높은 경향이 있고, 이는 대기업의 성장성과 시장 지배력을 높일 것이다.
또 수익성이 좋은 기업일수록 법인세 인하시 고용은 줄이고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관찰되는데, 이는 대형 성장기업이 노동생산성 개선에 투자하면서 중장기 성장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권희진 권희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