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가 예상보다 강하게 관세를 부과하면서 경기 침체 우려는 높아짐. JP모건은 경기 침체 확률을 60%로 기존 40%에서 상향 조정. 베센트 재무장관은 보복이 없다면 이미 최고 관세율을 적용했다고 언급한 만큼 향후 관세율은 하락할 수 있음. 하지만, EU의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EU의 이익과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언급. EU는 2023년 발효한 ‘반 강압 수단 (Anti-Coercion Instrument)’의 실행 가능성도 제기. 반 강압 수단이 적용될 경우 이는 관세인상, 무역조치 제한, 공공조달 배제, 외국인 직접 투자 제한 등 미국의 상품 뿐 아니라 서비스 산업에도 타격을 줄 수 있음. 다만, 이 경우 미국의 대 EU 관세율이 더 상승할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경기 침체 우려는 더욱 높아질 것
- 미국의 관세 정책이 약해지기 위해서는 실물 경제지표의 둔화 확인이 필요. GDPNow의 1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2.8%를 기록하면서 부진한 모습. 순수출의 성장기여도가 -4.70%p인 것에서 보듯이 관세 실행을 앞두고 미국 기업들이 수입을 증가시킨 점이 1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리는 요인. 다만, 개인소비지출의 성장기여도도 0.18%p로 최근 2년간의 평균이 2.06%p인 점을 고려하면 낮은 수치. 오늘 밤 발표되는 3월 비농업부문의 고용지표가 부진할 경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더 높아질 것. 시장은 비농업부문 고용자수가 14.5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 지난달 (15.1만명)보다 부진하지만 크게 낮을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고 있음. 다만, 지난 2~3월 정보효율부 (DOGE)의 주도하에 공무원들을 감축했으며, 그 효과는 2월보다 3월에 더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서 고용지표는 시장의 예상보다 더 부진할 수 있음. 3월 챌린저 감원보고서에서 3월 감원자수는 27.5만건을 기록하면서 지난달대비 60% 증가했는데, 이 중 21.6만건은 공무원. 공무원들의 감축이 민간 부분으로 흡수될 경우 고용지표는 견고한 모습을 보이겠지만, 관세에 대한 우려로 기업들은 인력 충원에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였을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