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배분/매크로

미국: 높아진 관세는 소매가격을 얼마나 끌어올릴까 -관세 인상의 물가 영향 추정

KB Macro
최신글
2025.04.18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소비자들에게 제한적으로만 전가되는 관세 인상분
트럼프 1기 관세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관세 인상은 미국의 수입 가격을 즉각 높였으나 소비자에게 전가는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림 1~2]에서 보듯 관세율이 인상된 품목은 관세가 수입가격에 대부분 반영된 반면, 이후 소매가격의 변화는 품목별 차이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수입가격 상승분 만큼을 반영하지 않는 모습이다.
수입가격 상승이 소매가격 상승으로 크게 이어지지 않은 이유는, (1) 유통업체들이 가격이 오르기 전 쌓아두었던 재고로 우선 대응을 했고 (2) 재고가 소진된 후에는 유통업체가 마진을 낮추면서 비용 인상분을 흡수하는 경향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Cavallo et al.
(2021)은 트럼프 1기 당시 10%의 관세 인상이 소매가격을 0.8~1.6% 높이는 영향에 그친 것으로 추정했다.

■ 트럼프 1기에 비해 관세가 덜 전가될 요인과 더 전가될 요인
이번에도 관세의 인상분이 소비자에게 대부분 전가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전 자료 (4/11)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호관세 부과가 90일 연기되면서 제조 및 유통업체들이 재고를 좀더 쌓을 시간적 여유를 일단 확보해, 가격으로 전가해야 하는 필요성에 완충작용을 해줄 전망이다.
또 빠른 물가 상승세가 이미 장기간 누적돼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져있는 데다 [그림 4]처럼 소비심리가 과거 관세 인상 시기보다 크게 약화돼 있는 점도 소비자 가격을 크게 높이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한다.
권희진 권희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