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meme

밈(Meme)은 특정 사회나 집단에서 모방을 통해 전파되는 아이디어, 행동, 스타일 등의 문화적 요소를 의미한다. 그리스어 'mimema(모방된 것)'에서 유래한 이 단어는 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가 1976년 저서 *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에서 처음 사용했다. 그는 밈을 "유전자가 생물학적 정보를 전달하듯, 모방을 통해 전파되는 문화적 정보 단위"라고 정의했다.

현대에 들어 밈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 유행하는 이미지, 동영상, 문구 등이 밈으로 불린다. 이러한 인터넷 밈은 재미와 공감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이를 변형하거나 패러디하며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주식 시장에서도 '밈 주식'이라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났다. 개인 투자자들이 소셜 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특정 종목을 화제로 만들고, 대규모 매수세가 몰리면서 주가가 급등하는 사례다. 대표적인 예로는 2021년 공매도 세력에 맞서 개인들이 게임스톱 주식을 집중 매수하며 주가를 끌어올린 사건이 있다. 이는 밈이 문화적 전파를 넘어 경제적 파급력까지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밈은 단순한 유머 요소를 넘어 현대 사회에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정부효율부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정부효율부는 2024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연방 정부의 재정 지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하기 위해 신설을 계획한 자문기구다. 이 부서는 관료주의 혁파, 공약 재원 마련, 연방 재정의 방만경영 통제 등 효율적인 정부 운영을 목표로 한다. 수장으로는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지명되었다.

트럼프 당선인이 선거운동 중 처음에는 ‘정부효율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구상을 발표했으나, 머스크가 자신의 관심사였던 암호화폐 도지코인(Doge)과 발음이 같은 약자인 DOGE를 제안하며 이를 공식 명칭으로 채택했다. 트럼프 당선인도 2024년 11월 12일 공식 성명에서 이 명칭을 사용했다.

DOGE는 공식적인 연방 부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미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백악관 및 행정관리예산국(OMB)과 협력하는 자문기구로 활동할 예정이다.

한편, 일론 머스크는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X의 DOGE 공식 계정을 통해 구인 공고를 게시하며, “비용 절감을 위해 주당 80시간 이상 일할 의향이 있고 IQ가 높은 혁명가”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DOGE 설립 초기부터 높은 관심을 보인 머스크의 주도적인 행보는 부서의 운영 방향과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정부효율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연방 정부의 재정 지출을 줄이고 불필요한 규제를 철폐하기 위해 신설을 계획한 자문기구다. 이 부서는 관료주의 혁파, 공약 재원 마련, 연방 재정의 방만경영 통제 등 효율적인 정부 운영을 목표로 한다. 수장으로는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지명되었다.

트럼프 당선인이 선거운동 중 처음에는 ‘정부효율위원회’라는 이름으로 구상을 발표했으나, 머스크가 자신의 관심사였던 암호화폐 도지코인(Doge)과 발음이 같은 약자인 DOGE를 제안하며 이를 공식 명칭으로 채택했다. 트럼프 당선인도 지난 12일 공식 성명에서 이 명칭을 사용했다.

DOGE는 공식적인 연방 부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미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현재로서는 백악관 및 행정관리예산국(OMB)과 협력하는 자문기구로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론 머스크는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X의 DOGE 공식 계정을 통해 구인 공고를 게시하며, “비용 절감을 위해 주당 80시간 이상 일할 의향이 있고 IQ가 높은 혁명가”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DOGE 설립 초기부터 높은 관심을 보인 머스크의 주도적인 행보는 부서의 운영 방향과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북대서양조약기구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유럽 29개국과 미국 캐나다 등 총 31개 국으로로 구성된 북대서양 지역의 군사적 집단안전보장기구.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두고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 12개국이 1949년 서유럽에 대한 옛 소련의 군사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체결한 북대서양조약을 기초로 결성됐다.
냉전 시기에는 소련과 동구권 국가들에 대항하는 방어 동맹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냉전 종식 이후에는 국제 테러리즘에 대응하고 평화 유지 활동, 위기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범위를 확대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유럽의 안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핀란드와 스웨덴이 2023년에 나토 가입 절차를 완료하여 회원국이 되었다. 이는 동유럽 지역의 방위 강화와 나토의 영향력 확대를 의미한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31개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2024년 11월 현재)
북미국-미국, 캐나다
유럽국-알바니아. 벨기에. 불가리아. 캐나다.크로아티아. 체코. 덴마크. 에스토니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이스랜드. 이탈리아.리트비아.리트아니아.룩셈브르그.몬테네그로.네덜란드. 북마케도니아. 노르웨이.폴란드.포르투갈. 루마니아. 슬로바키아.슬로베니아. 스페인. 터키. 핀란드, 스웨덴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도지코인

dodge coin

2013년 소프트웨어 개발자 빌리 마커스(Billy Markus)와 잭슨 팔머(Jackson Palmer)가 장난 삼아 만든 오픈 소스 암호화폐다.
유명한 인터넷 밈 `도지(Dodge)'를 바탕으로 탄생했고 로고에 시바견이 들어간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에 도지코인을 찬양하는 글을 계속 올려 유명해졌을 뿐, 이 코인을 활용해 추진되는 사업은 딱히 없다. 암호화폐업계 관계자는 “무명(無名)의 코인이라 해도 ‘이 코인으로 이런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나름의 계획을 내놓고 투자자를 모으는데 도지코인은 그런 것도 없다”며 “머스크를 통해 높아진 인지도와 투기 심리가 결합돼 ‘묻지마 투자’가 폭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2021년들어 도지코인은 1월초 $0.005에서 5월초 $0.74로 148배 정도 뛰며 `폭탄 돌리기'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데이비드 킴벌리 프리트레이드 연구원은 미국 경제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도지코인 가격 상승은 ‘더 큰 바보 이론(the greater fool theory)’의 전형적인 사례”라고 했다. 그는 “사람들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들어와 가격이 오르면 금방 팔아넘길 생각으로 투자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2024년에도 도지코인은 연초 $0.07에서 트럼프의 친암호화폐 정책 성향과 일론머스크 언급으로 11월 12일 한때 $0.43까지 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