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torque
물체에 작용하여 물체를 회전시키는 힘의 단위. 자동차에서는 차축(동력축)을 회전시키는 힘(회전력)을 말한다. 토크는 N.m나 Kgf.m로 표기하는데 국내에서는 Kgf.m를 사용하며 하나의 축에 1m 길이의 막대를 직각으로 달고 끝에 1kg짜리 추를 달았을 때의 축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바로 1kgf.m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관련 기사에서 "최대토크 38.8㎏f.m, 1,750~3,000rpm’이라고 게재된 경우 1분당 1,750~3,000번 엔진이 회전할 때 38.8㎏의 회전력이 발휘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 건당 50만원 이상의 접대비를 지출할 경우 접대 목적과 접대자 이름, 접대 상대방의 상호와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기재토록 한 제도. 2004년 초 도입됐으나 부작용만 키운다는 비판에 따라 2009년 폐지됐다. 접대비 실명제 도입 당시 국세청은 건전한 소비문화 정착과 투명한 세원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접대비 실명제가 도입되자 나타난 1차적 영향은 기업들의 접대비 감축이었다. 2003년 5조4372억원이던 기업들의 접대비는 실명제 도입 후인 2004년에는 5조1626억원으로 5%가량 감소했다. 이 피해는 고스란히 음식점 등 자영업자들이 떠안았다. 주점 등에서의 사용 금액은 같은 기간 1조6144억원에서 1조3270억원으로 18%나 줄었다. 이후 접대비는 조금씩 증가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편법 결제가 판을 치기 시작했다. 한 번에 50만원 넘게 비용이 나올 경우 카드 외 따로 마련한 현금을 사용하거나 50만원 미만으로 쪼개서 지급하는 결제 방식이 대폭 늘었다. 추적이 쉬운 카드 결제에서 50만원을 넘기지 않기 위해 현금 결제를 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오히려 지하경제를 양산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노무현 정부 시절 도입한 접대비 실명제에 대해 결국 당시 야당인 한나라당은 물론 여당인 열린우리당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됐다. 2004년 국세청 국정감사에서 김종률 열린우리당 의원은 “매출액 대비 손비인정 한도라는 접대비 전체에 대한 규제가 있는데 여기에 다시 건당 한도를 두는 것은 이중규제”라고 지적했다. 접대비 실명제는 실제 정책적 효과는 거두지 못한 채 소비 침체와 탈법을 부추긴다는 비판 속에 2009년 폐지됐다.
milestone jinx
큰 단위 지수가 바뀌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증시 상승세가 꺾이는 현상. 코스피나 코스닥지수가 특정 분기점(마일스톤)에 도달하면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 매물이 급증해 하락하곤 했다. 실제로 2011년 이후 2014년 말까지 코스피지수 2000을 넘은 일곱번의 구간에서 대부분 2000~2100을 ‘정점’으로 하락했다.
징진지는 베이징 톈진 허베이의 3개지역을 말한다. 징진지 프로젝트는 이 3개지역을 아우르는 메가시티 건설을 일컫는 것으로 베이징과 톈진의 성장 동력을 인근 지역으로 확산시켜 낙후된 허베이성의 도시화를 가속화해 경제 수준을 끌어올리는 지역 균형 발전 전략 중 하나다. 세 지역을 합치면 면적이 21만6000㎢에 달한다. 남북한을 합친 한반도 면적(21만9000㎢)과 엇비슷하다. 해당 지역 인구는 총 1억5000만명에 이른다. 홍콩, 마카오, 선전 등 광둥성 9개 도시를 연결해 거대 광역 도시권을 만드는 ‘웨강아오(港澳) 다완취(大灣區)’ 발전 계획과 상하이시와 저장성, 장쑤성, 안후이성 등 창장(長江)삼각주 지역을 하나로 묶은 ‘창장삼각주 일체화 계획'과 함께 중국의 3대 국가급 지역경제 통합 사업이다.
energy market system
국가의 전력공급을 24시간 계획, 실시간 운영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국가전력계통을 움직이는 두뇌에 해당한다. 전력계통망은 사람 몸의 핏줄과 비슷하다. 강원이나 영남 등지에서 만들어진 전기를 수도권을 포함해 전국 각지로 보낸다. 전력계통망 어딘가에 문제가 생기면 서울이 어둠 속에 묻히거나 수백개의 공장이 멈춰설 수 있다. 2003년 미국 동북부에서 발생한 대정전도 EMS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일어났다. EMS는 아침저녁마다 바뀌는 수요에 맞게 전기 생산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한국은 2005년 한국전기연구원 LS산전 한전KDN 바이텍정보통신 등이 참여해 개발을 시작했으며 2013년 11월에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에 이어 국산화에 성공한 세계 5번째 국가가 됐다. 향후 전력수급 안정과 대규모 전력계통의 안정 운영 및 대정전방지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성과다.
leap second
세계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세계협정시(UTC)의 토대가 되는 원자시계와 지구자전에 따른 태양시계의 오차를 맞추기 위해 더하거나 빼는 1초. 세계 협정시는 세슘 원자의 진동수를 기준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오차(3000년에 1초)가 거의 없다. 하지만 천문시는 불규칙한 지구 자전을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협정시와 어긋난다. 그대로 두면 오전 10시에 해가 뜨는 등 표준시와 체감시각 사이에 괴리가 발생한다. 윤초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국제지구자전·좌표국(IERS)이 1972년 처음 도입했다. 2014년말까지 26차례 적용했다. 윤초를 적용하면 60초인 1분이 61초로 늘어난다. 세계협정시각 기준으로 2015년 7월1일 적용된다. 한국 시각으로는 7월1일 8시59분59초와 9시 정각 사이에 1초가 추가된다. ‘59초-60초-0초-1초’가 되는 방식이다. 7월1일 하루는 24시간1초로 늘어난다. 음력에서 양력과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윤달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2~3년에 한 번 윤초가 적용될 때면 인터넷 접속 중단 같은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컴퓨터 시스템이 1초가 더 늘어나 1분이 61초가 된 것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서다.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 2012년 유엔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윤초 폐지에 대해 표결을 했으나 합의에 실패했다.
상여금이나 수당이 통상임금이 되려면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통상임금은 연장근로수당 등의 기준임금이므로 연장근로 등을 하기 전에 미리 확정돼 있어야 한다는 요건. ‘15일 이상 근무’나‘재직자에게만 지급’ 등 추가적인 조건과 관계없이 일정 근무에 대한 대가를 확정적으로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perovskite
ABX3 화학식을 갖는 결정구조로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보이는 특별한 구조의 금속 산화물. 1839년 러시아 우랄산맥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러시아 광물학자 과학자(Perovski)의 이름을 땄다. 회티타늄석이라고도 불린다. AMX3 화학식 (A, M은 양이온, X는 음이온)을 갖는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은 화학적으로 합성이 가능하다. 실리콘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떠오르고 있어 주목된다.
퀄컴주도 IoT연합단체인 올신얼라이언스(AllSeen Alliance)에서 표준화한 오픈소스 기반의 IoT 플랫폼이다. 올조인은 운영체제(OS)나 하드웨어 종류에 상관없는 기기 간 연결 플랫폼이라는게 특징이다. 즉 각기 다른 제조사에서 만들어진 조명, 스마트워치, 냉장고, 에어컨, 도어락, 스마트폰, 태블릿이 올조인이라는 허브를 통해 연결되고 소통할 수 있다.
Physical web
구글이 2014년 10월 개발할 것이라고 발표한 오픈소스 IOT 플랫폼 프로젝트명. 이 프로젝트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내려받지 않아도 웹을 통해 버스정류장 안내 시스템, 자동판매기 등 다양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방식의 표준을 만드는 프로젝트다. 피지컬웹 프로젝트는 IoT 기기를 인터넷주소(URL)로 직접 연결해 특정 운영체제(OS)나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의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다. 기존 IoT 기기는 대부분 앱을 이용해 통제해야 한다. 구글과 삼성전자가 올해 각각 인수한 스마트홈 플랫폼 네스트나 스마트싱스도 앱을 기반으로 통제된다. 문제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IoT 기기를 각자 다른 앱으로 통제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것. 안드로이드 OS를 통해 열린 생태계의 중요성을 학습한 구글이 개방적인 웹을 무기로 문제 해결에 나선 이유다. 기존의 웹이 수많은 웹페이지를 URL로 연결해 가상의 정보 네트워크를 만들었듯 피지컬웹은 물리적인 사물 간의 네트워크다. 렌터카 업체의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하려는 사람을 예로 들자. 사용자가 도심 곳곳에 주차된 자율주행차 근처를 지나가면 가장 가까운 자율주행차의 위치가 스마트폰에 뜬다. 간편결제를 이용해 대여료를 내면 목적지까지 데려다주는 자율주행 교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IoT 기기들이 웹으로 표준화돼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단말기 종류나 앱 설치 여부와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변 IoT 기기와의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기술인 비콘이 담당한다. 구글에 웹이 중요한 이유는 검색엔진으로 이미 웹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구글은 가장 개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웹을 무기로 들고 나온 것이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