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장 배경] 일본 스폿워크 시장의 급격한 성장 배경에는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정부 정책 △기업의 인건비 효율화 노력 △근로자의 유연한 근로 선호 △직무 평가 시스템 고도화 등이 자리
- (배경①: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 온라인 플랫폼과 스마트폰 앱 등이 보편화되며 기업은 필요할 때 인력을 구하고, 근로자는 원하는 시간에 일하는 등 초단기 노동 수요자와 공급자의 실시간 연결이 가능
- (배경②: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고령자와 경력 단절 여성 등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²되면서 유연하고 부담 없는 근무 기회를 제공하는 스폿워크가 부상
-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 3,62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9.3%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중 취업자 수는 2023년 약 914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3.5%를 차지하고 취업률은 25.2%를 기록
- 일본 정부 및 관련 단체(실버인재센터 등)도 스폿워크 플랫폼이 고령자와 경력 단절 여성 등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복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 (배경③: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정부 정책) 일본 정부는 실질 소득 정체 및 생활비 부담 등을 개선하기 위해 2018년 ‘부업·겸업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기업으로 하여금 직원의 부업을 공식적으로 허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 이 같은 정부 정책에 따라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직원의 부업을 허용하면서 2020년 이후 부업을 허용하는 기업 비율은 전체 기업의 50%를 넘어섬
-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부업을 하는 직장인 비율은 2017년 3.6%에서 2023년 10%를 초과하며 3배 가까이 증가
- (배경④: 기업의 인건비 효율화 노력)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많은 기업이 인건비 절감 전략의 일환으로 스폿워크를 활용하고 있음³
- 총 인건비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1.9% 증가한 가운데, 일본 기업들은 업무 효율화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필요할 때만 인력을 투입하는 스폿워크를 활용하는 전략을 채택
- (배경⑤: 근로자의 유연한 근로 선호) MZ세대를 중심으로 평생 직장보다는 여러 일을 병행하며 자유롭게 살아가기를 원하는 가치관이 확산하면서 스폿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
- (배경⑥: 직무 평가 시스템 고도화) 인공지능(AI) 매칭 알고리즘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인력 배치와 근무자 평가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스폿워크 시장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크게 향상
- 모바일 앱 기반의 실시간 매칭, AI 기반 인력 배치 최적화로 실시간 근무 교대, 일정 변경, 즉각적 소통이 가능
² Kyodo News, Sep. 15, 2024, “Japan's over-65s hit record high 36.25 mil., 1 in 4 working”
³ Backoffice Force, 2022.4.1, “人件費を削減したい!業務効率を落とさず人件費を削減する方法を紹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