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닫기
홈버튼
통합검색
전체메뉴
홈
투자
경제 흐름 심층 분석
[미리보기] 중국 부동산 신용 리스크 점검
23.09.22
읽는시간
0
분
좋아요
가
가
Aa
작게
가
Aa
보통
가
Aa
크게
공유
0
Executive Summary
1. 중국 주택 구매자는 실수요 비중이 높고, 소형 주택을 선호하며, 주로 대출을 이용하여 자금 마련
실수요 충족과 업그레이드 목적의 주택 구매가 많고, 주택 업그레이드에 가장 많은 예산을 지출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형 주택 선호 비중이 높고, 주택 구매자의 약 70%는 대출을 이용
2. 은행의 모기지 대출 상환 불이행 위험은 적으나, 가계의 부채 상환 비용 증가세는 위험 요인
은행권 모기지 대출 부실률은 전체 대출 부실률보다 낮으나 지방 소형은행들은 비교적 높음
주요국 대비 낮은 주택 담보 인정 비율, 담보 설정 등을 고려할 때 모기지 상환 불이행 위험은 낮음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비중이 큰 가운데 부채 상환 비용이 증가하는 점은 리스크 요인
3. 중국 선분양 제도는 분양 시 구매 대금을 일괄 지불하는 구조로, 경기 침체 시 리스크 증폭 가능성 내재
분양 시점에 수(受)분양자가 주택 구매 선납금(down payment)과 잔금을 부동산 개발회사에 일괄 지불하는 구조
선분양 제도는 부동산 개발회사의 분양 대금 유용 등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호경기에 매매 차익을 기대하는 주택 수요자들의 선호로 유지될 수 있었으나 경기 침체로 잠재 리스크가 현실화
4. 민영 부동산 기업 익스포저는 은행이 가장 크고, 완충 자본이 부족한 중소형은행이 리스크에 취약
최근 중국 민영 부동산 개발회사의 디폴트 리스크가 재점화되면서 신용 위기 발생 위험 지속 전망
금융기관 중 은행이 가장 큰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보유. 부동산 경기 침체 심화 시 부동산 금융의 약 10%가 부실화 가능성
부동산 관련 자산에 대한 익스포저가 크고 리스크 완충 자본이 부족한 중소형은행이 상대적으로 위기에 취약할 우려
5. 중장기 주택 수요는 감소한 반면 막대한 재고가 누적되어 부동산의 경제 성장 기여 감소가 불가피
주택 수요는 감소세인 반면 막대한 재고가 누적되어 당분간 부동산 경기 회복은 기대하기 힘들 전망
현재 부동산 산업은 GDP 성장률을 깎아내리는 요인. 향후 경제 성장에 대한 마이너스 기여 지속 전망
6. 실수요 촉진을 위한 부동산 경기 부양에도 불구하고 주택 구매 심리는 여전히 회복되지 않고 있음
정부는 실수요 촉진을 위해 모기지 금리와 주택 구매 선납금 비율 인하 등 부동산 부양에 안간힘
부양 조치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주택 구매 의향은 오히려 1년 전보다 악화된 것으로 관측
7.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통화 완화 정책 지속으로 낮은 금리 수준과 위안화 약세 압력 전망
부동산 경기 부양책과 모기지 금리 인하 등으로 시중 금리는 당분간 낮은 수준 지속 전망
위안화 가치도 통화 완화 정책에 따른 내외 금리차 확대 등으로 약세 압력 지속 전망
#리스크
#부실률
#성장률
#수요
#부양책
더 많은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KB경영연구소 홈페이지에서
콘텐츠 더 보기
이정진
투자 전문가
KB경영연구소
중국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을 연구해왔습니다. 경제동향 및 리스크 분석 자료를 발표합니다.
총 8화
중국 부동산 신용 리스크 점검
2화
1화. 중국 주택 구매자의 특징은?
1화
[미리보기] 중국 부동산 신용 리스크 점검
2화
보러가기
보기
더 알고 싶을
내용을 추천해요
환율 변동으로 수출입 기업의 실적이 달라진다? 환율과 기업 실적 상관관계
25.07.01
KB Think 오리지널
미국 고용보고서에 주목해야 할 한 주
25.06.30
KB국민은행
[7월 1주차] FX 전망
25.06.30
문정희
검색
닫기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저축
투자
대출
라이프
부동산
세금
보험
연금
사업자
더 많은 콘텐츠
뉴스
영상
퀴즈&투표
전문가 인사이트
취향 콘텐츠 모아보기
서비스
공지사항
의견 보내기
금융사이트
KB고객언어 가이드
About us
닫기
자세히 보기
닫기
닫기
자세히 보기
닫기
금융용어사전
닫기
KB Think
닫기
금융용어사전
닫기
KB Think
닫기
닫기
닫기
닫기
닫기
닫기
닫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