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화. 결론 및 대응방안

반도체 시장환경 변화가 국내 반도체 장비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23.02.27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은 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최근 3년간 성장을 보였으나, 2023년에는 역성장이 전망

  • 반도체 수요 확대와 중국의 신규 팹 건설 증가로 세계 장비 시장은 성장을 이어왔으나, 글로벌 경기 침체 심화로 올해는 역성장이 전망되는 상황
 
  • 2020년 이후 반도체 장비의 가장 큰 시장으로 등극한 중국의 경우 복합적인 영향으로 장비 수입이 2022년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향후 주요국 견제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

    – 반면, 미국과 유럽은 자국 내 반도체 제조 시설 확보의 적극적인 추진 정책에 힘입어 장비 구매 금액 성장률이 큰 폭으로 상승하며 새로운 시장으로 올라설지 관심

○ 국내 반도체 장비산업은 낮은 점유율로 인해 외부 환경 변수 영향에 취약한 구조로 국제 역학관계 변화와 투자 환경 급변에 따른 실적 악화 우려

  • 글로벌 반도체 전공정 장비 시장은 5대 장비기업이 7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보임에 따라 높은 진입장벽을 갖는 구조

    – 이로 인해, 외부 환경 요인 변화가 국내 장비산업의 실적변동에 민감 요소로 작용
 
  • 한국 장비의 가장 큰 수출 지역인 대 중국 수출 감소가 미국의 중국 반도체 산업 규제 등 국제 관계 변화로 단·중기적으로 가속화 될 가능성

    – 장기적으로 중국 지역에서 철수한 국내외 반도체 제조기업들이 한국 및 기타 지역에 신규 팹 설립 및 증설로 반도체 장비 신규 수요 발생의 긍정적 가능성도 존재
 
  • 글로벌 경기침체로 이어진 반도체 수요 감소로 메모리 반도체 기업을 중심으로 올해 투자 축소 행보
 
  • 각국의 적극적인 반도체 지원 정책과 중국 외 지역에서의 신규 팹 건설은 장기적 관점에서 장비 공급사들의 신규 시장 발굴 기회

    – 국내외 파운드리 팹 증설 및 신규 건설, 실리콘 웨이퍼 제조기업들의 투자 확대 등 일부 분야는 투자 기조 지속으로 관련 장비 업계에 긍정 요소
 
  • 기술 트렌드 변화로 최근 후공정 분야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며 후공정 장비 분야에서 일정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에게 기회요인으로 작용 기대
 
  • 중국 반도체 장비기업의 국산화율 상승은 비슷한 기술분야를 놓고 경쟁하는 국내 장비산업에 장기적으로 시장 위협 요인

시장 및 환경 변화에 따른 한국 장비산업에 미치는 영향

시장 및 환경 변화가 한국 '장비산업'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표.

자료: KB경영연구소

총 5화

반도체 시장환경 변화가 국내 반도체 장비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장 최신 시리즈예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