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위안화는 향후 어떻게 움직일까. 중국은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환율이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움직이기보다는 정부 당국의 의도에 따라 조정된다.
과거 사례를 보면 트럼프 행정부 1기 미·중 무역전쟁 당시에도 중국 정부는 대응 수단으로 위안화를 ‘평가절하’(정부나 중앙은행이 환율을 인위로 올려 자국 화폐 가치를 낮추는 것)했다. 2018년 7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달러당 위안 환율은 최대 8% 상승했고, 같은 기간 달러당 원 환율도 최대 9% 상승했다.
이를 미 달러화 지수(5% 상승)를 감안해 조정하면, 순수한 위안화·원화 약세 폭은 약 3~4% 수준이었다. 즉, 당시 중국은 관세 부담을 일부 상쇄하기 위해 자국 통화 가치를 낮췄고 위안화 약세는 원화 약세로도 이어졌다.
이번에도 비슷한 전개가 반복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다행히 최근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145%에 달하는 대중 관세율을 50%까지 인하할 수도 있다고 밝혔고, 중국 역시 미국산 반도체 제품에 대한 관세를 일부 철회했다.
관세는 양국 경제 모두에 부담이기 때문에 향후 일부 완화될 가능성은 존재한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미·중 양국은 단순한 통상 문제가 아니라, 패권경쟁이라는 보다 구조적인 갈등 속에 있다.
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무역전쟁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환율은 미·중 무역전쟁 전개 양상에 따라 상당한 변동성을 보일 수 있다.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원화 약세 압력이 재차 강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환율 등 외화 관리에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