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typhoon
최대풍속이 초속 17m 이상인 폭풍우를 동반한 저기압을 말한다. 태풍은 본래 삼국시대부터 대풍(大風)이라 불리다가 이후 1906년에 간행된 일본의 기상요람에서 처음 쓰였다. 태풍은 적도부근의 수증기를 북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적도 부근의 과잉 에너지를 다른 지역으로 재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지구 자전 때문에 항상 북서쪽으로 발달하는 게 특징이다. 태풍의 강도는 바람세기에 따라 구분한다. 최대 풍속이 초속 25m 미만이면 ‘약’, 초속 33m까지는 ‘중’, 초속 44m를 기준으로 ‘강’과 ‘초강력’으로 나뉜다.우리나라에는 보통 8월 말부터 9월 사이에 두세 차례 찾아온다. 인명손실이 가장 많았던 것은 1232명이 죽거나 실종된 1936년의 태풍이다. 재산피해는 2002년 태풍 루사 때 발생한 5조1479억원이 가장 컸다. 태풍은 가뭄이 든 지역을 해갈시키고 바닷물의 위아래를 뒤집어 놓아 적조(赤潮)를 해결하는 순기능을 갖기도 한다. 태풍에 처음으로 작명을 한 것은 호주 기상예보관들로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는 일반인들의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미군이 태풍이름을 붙였는데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하는 게 통례였다. 아시아지역에서는 2000년부터 14개국이 각각 10개씩 제출한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credence goods
제품을 사용한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고 난 뒤에도 해당 제품에 대한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운 제품들을 신용재라 부른다. 의료서비스, 법률서비스, 고급 공연예술 등 제품 서비스를 평가하는 데 전문성이 필요한 재화들이 일반적으로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신용재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해당 재화의 브랜드에 따라 평가가 이뤄지는 것이 보통이다.
copycat
독창적이지 않고 남을 모방하는 사람이나 기업또는 제품을 일컫는 말.
예금수신의 기능은 없고 대출기능만 있는 금융기관을 말한다. 신용카드회사, 할부금융회사, 생산설비 등 각종 시설을 기업 등에 장기간 빌려주고 대가를 받는 리스업체 등이 이에 속한다.
barrier coating
기존 유리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하는 코팅을 말한다. 코팅을 통해 수분이나 공기의 침투를 막는다.
namist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브랜드명이나 기업명이나 도메인명과 같은 이름을 짓는 사람.
intellectual property right
사람의 창작물이나 연구 결과, 창작 방법 등을 법으로 보호하기 위해 부여한 권리. 산업재산권과 저작권으로 구분한다. 산업재산권에는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등이 있다. 보호 기간은 특허가 20년, 실용신안은 10년이다. 저작권은 저작권자 사망 후 50~70년까지 보호한다. 전에는 지적재산권 혹은 지적소유권이라고 불렀으나 특허청이 1998년 4월부터 지식재산권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해오고 있다.
경제성장의 장기균형에서 1인당 소비수준을 극대화하는 자본량을 말한다. 가장 기초적인 모형에서 황금률 자본량은 인구증가율과 감가상각률을 더한 값이 자본의 한계생산성과 같아지는 수준의 자본을 의미한다.
paradox of thrift
개인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리면 그 개인은 부유해 질 수 있지만 모든 사람이 저축을 하게 되면 총수요가 감소해 사회 전체의 부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영국의 경제학자 존 M. 케인스가 제기한 이론이다. 이는 총수요 감소로 이어져 국민소득이 줄어들 수 있다. 절약의 역설이 발생하는 이유는 저축한 돈이 투자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저축이 투자로 전환되지 않으면 국민소득은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부분은 참이나 부분이 모인 전체는 거짓이 될 수 있는 구성의 오류의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저축을 위해 소비를 억제해야 하고 줄어든 소비로 인해 생산된 상품은 팔리지 않고 재고로 쌓인다.
physical capital
공장의 기계, 농부가 소유하고 있는 경운기와 같이 생산과정에 투입되는 장비와 시설을 말한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