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니트족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고 교육, 고용, 훈련 등을 모두 거부(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하는 청년을 가리킨다.
일할 의지는 있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실업자나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프리터족과는 구별된다.

영국정부가 1999년에 작성한 조사보고서에서 유래했는데 이 보고서 의한 니트족의 정의는 교육기관에 소속되지 않고 채용되지 않았으며, 직업훈련에 참가하지 않는 16~18세의 청소년이다. 이후 한국과 일본 대만 등지에서 청년 무직자문제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019년 9월 17일 발표한 ‘청년층 니트(NEET)족의 특성 분석 및 비용 추정과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니트족들의 취업 기회 손실에 따른 경제적 비용은 연 49조4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2.7%에 해당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경연은 한국노동패널 조사 자료(2010~2017년)를 사용해 15~29세 청년 중 니트족 비중을 추정했다. 그 결과 2014년 16.2%이던 니트족이 매년 늘어 2017년에는 21.2%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트족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비용)은 이들이 취업했을 때 받을 수 있는 근로소득으로 계산했다. 니트족이 취업해 받을 수 있는 월평균 소득은 2017년 기준 178만4000원으로 추정됐다. 취업자 평균 소득의 85.0% 수준이다. 여기에 고용주가 부담하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사회보장부담금을 추가한 결과 연간 손실 비용이 49조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0년(34조7000억원)보다 42.4% 급증했다.

여성보다 남성 니트족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남성과 여성의 니트족 비중은 각각 17.1%로 같았다. 하지만 2017년에는 남성 24.4%, 여성 17.6%로 차이가 났다. 한경연은 “남성은 여성보다 일자리의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취업이 늦어질수록 니트족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고학력자일수록 니트족 비중은 더 높았다. 2017년 기준 중학교 졸업 이하는 3.3%, 고졸은 23.8%, 전문대 졸업자는 26.7%, 4년제 대학 졸업자는 32.7%였다. 부모의 학력 수준이 높으면 니트족이 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가 고졸 이하인 경우 니트족 비중은 22.9%, 전문대 졸업 이상인 경우 18.6%였다.

유진성 한경연 국가비전연구실장은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018년 이후에도 21% 이상을 기록해 니트족 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소득 하위계층에서 니트족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청년 취업 지원정책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Semiconductor Sector Index

미국 동부의 필라델피아 증권거래소가 지난 1993년 12월부터 산정, 발표해 온 "반도체업종지수"(SOX : Semiconductor Sector INDEX)를 가리키는 말이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TSMC, 마이크론이 속하는 메모리 및 파운드리업체(2개), 인텔, AMD, 퀄컴, 텍사스인스트루먼트가 속하는 시스템 반도체 및 설계업체 (18개), ASML, Lam, 어플라이드 머티리얼 등이 속하는 소재 및 장비 업체(10개)들로 구성돼 있다. TSMC는 대만 업체지만 ADR(미국주식예탁증서) 형태로 뉴욕증시에 상장돼 있다.

이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반도체업종지수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내 반도체기업 주가의 나침반 역할을 한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여러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ETF로는 ‘iShares PHLX Semiconductor ETF(SOXX)’가 있다. 30개 반도체 종목에 투자한다. 미국 기업이 91.78%로 가장 비중이 높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은 텍사스인스트루먼트(8.61%)다. 올 들어 20% 가까이 올랐다. 국내에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SOXL이 최근 순매수 상위 종목에 오르며 인기몰이 중이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추종하는 또 다른 ETF로는 ‘VanEck Vectors Semiconductor ETF(SMH)’가 있다. SOXX와 비슷하지만 운용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TSMC 비중이 높다는 게 특징이다.

‘SPDR S&P Semiconductor ETF(XSD)’는 미국 반도체 기업 중에서도 중소형주에 집중하는 ETF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