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대분열 시대

the great divergence

미국과 미국 이외의 주요경제국인 EU, 중국, 일본 등이 저금리기조에 대한 동조화를 포기하고 각각의 차별화된 통화정책을 펴는 현상.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7년간 주요국은 미국 중앙은행(Fed)를 구심점으로 초저금리와 돈풀기를 통한 경기부양을 목표로 일사불란하게 달려왔다. 하지만 2015년 12월 16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금리를 0.25%올리면서 세계각국의 통화정책기조가 엇갈리는 대분열의 시대가 오게 됐다.

Fed가 긴축으로 돌아서면서 전 세계 투자자들의 눈은 유럽중앙은행(ECB)에 쏠리고 있다. 미국과 달리 유럽 경기는 아직 냉기가 감돈다. ECB는 2015년 12월 3일 마이너스 예금금리를 0.1%포인트 더 내려 -0.3%까지 낮췄다. 현금 살포와 다름없는 양적 완화 프로그램도 2017년 상반기까지 6개월 연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ECB의 결정에 독일 등 유럽 주요국 증시는 3%대의 급락세를 보였다. ECB의 조치가 시장의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이다.

미국과 더불어 가장 유력한 금리인상 국가로 거론됐던 영국은 물가상승률 때문에 멈칫거리고 있다. 영국이 2015년 12월 10일 연 0.5%인 기준금리를 8 대 1의 압도적 표차로 유지하기로 한 것도 지난 10월까지 1년간의 평균 물가상승률이 -0.1%로 목표치 2%에 한참 못 미쳤기 때문이다. 영국이 금리인상을 시도할 수 있는 시점은 일러야 2016년 말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일본은행은 미국의 긴축으로 엔저(低) 흐름이 바뀌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 Fed의 금리인상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 안전자산인 엔화에 대한 수요가 늘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엔화 강세와 수출경쟁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규제 프리존

정부가 27개 전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를 대폭완화하기로 한 14개 도시를 말한다. 정부가 2015년 12월 16일 발표한 ‘2016년 경제정책방향’에서 핵심 콘텐츠로 내세운 것으로서 신성장 산업 기반 마련과 지역경제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별로 전략산업을 두 개씩(세종시는 한 개) 지정했다. 지역별로 필요하다고 판단한 산업을 정부에 제출하는 식으로 진행했다. 부산은 해양관광과 사물인터넷(IoT) 도시기반서비스, 대구는 자율주행자동차와 IoT 기반 웰니스산업, 전남은 무인항공기(드론)와 에너지신산업, 경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첨단소재 타이타늄 등 미래성장 산업 위주로 선정했다.

정부는 지자체가 선정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업종, 입지 등 핵심 규제를 풀어줄 예정이다. 정은보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기업의 실질적 규제 체감도를 제로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기존 규제 적용 여부가 모호한 신기술•융복합 분야는 기업이 문의하면 정부가 30일 내에 규제 적용 여부를 알려주기로 했다. 규제로 사업화나 시장 출시가 어려웠던 신기술•융복합 분야도 안전성 확보를 전제로 규제특례를 인정해준다.

필요한 재정•세제•금융•입지•인력도 집중 지원한다. 지역 전략산업과 관련된 기업에는 정책금융을 확대 제공하고 세제 지원과 고용창출 시 인건비 지원 등도 병행한다. 14개 시•도가 전략산업 관련 부지 개발을 추진하면 건폐율 특례 등 토지이용 규제도 대폭 완화해 준다.

14개 시•도는 2016년 1분기까지 전략산업 육성계획안을 정부에 보고할 계획이다. 정부는 완화해야 할 핵심 규제와 정부지원 방안을 마련해 내년 6월 ‘규제프리존 지정•운영을 위한 특별법’을 국회에 제출한다.
일본은 한국에 앞서 비슷한 제도를 도입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일본 재생’을 목표로 2013년 ‘국가전략특구 사업’을 선보였다.